성주군의 자존심인 인구 5만선대가 붕괴되면서 고령화 사회로 급진전되는 가운데, 출생률 감소도 심각한 지역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성주군에 따르면 지난 2003년 한해 총 7백9명이 사망한데 반해 출생은 성주읍 1백53·선남면 44·용암면 36·수륜면 25·가천면 14·금수면 6·대가면 27·벽진면 25·초전면 45·월항면 39명의 총 4백14명에 그쳐, 출생·사망 격차가 171%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난 2001년에는 지역에서 5백2명이 출생·6백90명이 사망해 137%의 격차가 발생했고, 지난 2002년에도 출생자 3백81명에 비해 사망자는 2백79명이 많은 6백60명으로 173%의 격차가 발생했다.
이같이 지역인구 감소 문제는 인구의 대도시 등지로의 유출이 커다란 요인으로 나타나지만, 매년 사망률보다 출생률이 낮아 저조한 출생으로 인한 자연감소도 인구감소의 큰 요인의 하나로 드러났다.
가천면 박모씨는 『아기가 울어야 지역이 살고 활기가 넘치는데, 언제부터인가 지역에서 아기울음소리를 듣기가 힘들어졌다』며 『노동력과 출산능력이 있는 젊은층의 이농현상과 함께 평균수명은 늘면서 고령화가 심화, 출생률 감소도 심각해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실제로 전국 각 시·도, 시·군·구에서는 저 출산 시대를 맞아 출산을 장려하기 위해 양육비 지원은 물론 출산 축하금, 혼인 축하금, 출산용품 증정, 출생 축하카드 지급, 임산부 영양제 지급 등 다채로운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성주도 인구감소가 심각한 문제로, 인구 5만선 붕괴는 비단 자존심만의 문제가 아니라 2개과 축소 및 인구·자동차 수 등 30여개 항목을 근거로 중앙정부로부터 받는 지방 교부세도 줄어들 수밖에 없는 현실에서 지자체의 출산장려책은 절실하다.
이에 일각에서는 『인구문제는 단시간에 해결할 수 없다고 볼 때 지역의 미래를 고려한 출산장려책이 필요하다』며 『성주군은 현재 출산장려책이 전무한 상태로 필요성조차도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데, 저 출산을 막기 위해선 중앙 정부 차원의 획일적인 출산장려책이 없다면 지역의 특색에 맞는 정책이 지방자치단체별로 추진되는 것은 기본』이라는 입장을 전했다.
/정미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