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군의 PC방, 버스 정류소, 커피숍 등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에서의 흡연이 눈에 띄게 줄고 있다.
군이 지난 4월 `금연 환경조성 및 간접흡연 피해 방지를 위한 조례`를 시행한 이후 실내 흡연이 점차 줄어 들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것.
군 보건소는 올해 5월부터 금연지도원 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흡연률을 줄이기 위해 물수건, 비타민, 구강청결제 등 금연 홍보물을 배부하고 있다.
금연지도원 2명은 매일 식당, PC방, 버스터미널, 커피숍 등을 순찰하며 실내 흡연자 단속 및 계도를 실시하고 있다.
성주읍에서 모 PC방을 운영하는 A씨는 "낮과 저녁시간에는 보건소 금연지도원이, 심야에는 경찰이 수시 단속을 시행하기 때문에 실내 흡연은 눈에 띄게 사라졌다"며 "손님들의 인식도 많이 개선돼 흡연자는 외부로 나가 흡연하고 온다"고 말했다.
실제 PC방 내부에는 금연 장소임을 알리는 스티커가 붙어져 있고 심야시간에도 흡연자들이 외부로 나가 흡연하는 모습을 목격할 수 있었다.
보건소 관계자는 "올해 상반기 금연지도원이 모든 식당, 편의점, PC방, 주점 등에 금연 스티커를 배부해 부착하도록 했으며, 수시 순찰을 통해 실내 흡연자에게 금연을 권고하고 있다"며 "올해 11월까지는 권고기간이라 과태료를 부과한 사례는 없지만 11월 이후부터는 과태료도 부과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업주들은 실내 금연 스티커를 의무적으로 부착하고 실내 흡연자를 계도할 의무를 가지고 있다"며 "실내 흡연자의 경우 1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하지만 금연 스티커 미부착 등 금연 계도를 하지 않은 업주에게는 17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됨을 명심해줄 것"을 당부했다.
보건소는 초등학교 운동회 기간을 맞아 초등학교에 금연 홍보 부스를 운영, 학부모를 대상으로 금연을 홍보하는 등 금연에 대한 홍보활동을 지속할 예정이다.
이러한 노력으로 실내 흡연에 대한 인식 개선 등의 효과는 있지만 아직도 문제는 남아있다. 바로 청소년 흡연 문제다.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청소년 흡연율이 2011년 17.2%에서 2014년 14%로 감소했지만 여전히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군에서도 최근 일부 청소년들이 편의점, 술집, 골목이 밀집돼 있는 성주읍2길 등에 모여 소란을 피우고 흡연을 하는 등 탈선의 모습이 목격되고 있다.
성주읍 주민 B씨는 "학생으로 보이는 젊은이들이 끼리끼리 모여 담배를 피우고 욕설과 고성을 지르는 등 소란을 피우고 있다"며 "주말 같은 경우 새벽까지 이어지고 있는데 관리는 안하는지 궁금하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성주경찰서 생활안전과 관계자는 "청소년의 탈선을 막기 위해 중앙초 골목 부근과 전통시장 주변의 순찰을 강화하다 보니 일부 청소년들이 순찰을 피해 다른 곳으로 모이고 있다. 취약지를 다시 분석해 순찰 및 단속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순찰과 단속 등으로는 청소년 흡연 및 탈선을 막는데 한계가 있다. 흡연과 탈선을 제재하는 근본적인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보건소 관계자는 "관내 학교와 경북 금연지원센터와 연계해 금연교육 등 금연 캠페인을 실시할 예정"이라며 "특히 이달에 시행해 좋은 평가를 받았던 청소년 금연캠프를 확대 운영하는 등 흡연에 대한 인식 개선과 청소년 흡연률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