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으로 연이은 대형화재사건으로 인명 피해가 빈발한 가운데 지난달 14일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2017안전지수에서 성주군의 안전지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우려를 낳고 있다.
2015년부터 행안부는 지자체별로 교통사고, 화재, 범죄, 자연재해, 생활안전, 자살, 감염병 7개 분야의 안전 수준을 평가해 각각 최고 1등급에서 최하 5등급으로 평가하고 있다.
군의 안전지수는 교통 5등급, 화재 3등급, 범죄 3등급, 자연재해 3등급, 생활안전 3등급, 자살 3등급, 감염병 4등급으로 낮은 편에 속했다.
특히 군은 매년 교통사고(3등급→5등급→5등급)와 감염병(2등급→3등급→4등급)지수가 하락했다.
경상북도의 안전지수는 교통 4등급, 화재 2등급, 범죄 2등급, 자연재해 3등급, 생활안전 3등급, 자살 3등급, 감염병 5등급으로 나타났다.
인접군인 칠곡군은 교통 1등급, 화재 2등급, 범죄 4등급, 자연재해 2등급, 생활안전 1등급, 자살 1등급, 감염병 1등급으로 울릉군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고령군은 교통 3등급, 화재 2등급, 범죄 2등급, 자연재해 1등급, 생활안전 3등급, 자살 3등급, 감염병 4등급으로 성주보다는 좋은 등급을 차지했다.
한편 행정안전부(www.mois.kr)와 생활안전지도(www.safemap.go.kr) 누리집에서 전국 자치단체의 분야별 안전등급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각 자치단체는 안전정보통합관리시스템을 통해 안전수준 진단·분석 등에 활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