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기술센터는 장마 후 본격적인 고온기를 맞아 성주참외 품질향상을 위한 참외관리와 더불어 조기페경농가의 토양관리를 당부했다.
참외 고온피해는 작물의 호흡량이 많아져 광합성률이 낮아지면서 당도가 떨어지는 등 생리장해가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하우스 내부 온도가 40~50℃가 되면 꽃의 수정이 힘들고 생장점이 말라죽는다.
또한 지온이 30℃이상일시 뿌리털의 발생이 억제돼 양수분 흡수가 힘들고 뿌리의 호흡이 왕성해져 동화산물의 소모가 많아지므로 품질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등 고온현상이 지속되면 기형과 발생피해가 나타난다.
고온에 의한 피해대응 관리요령은 환기로 하우스 안의 온도가 올라가지 않도록 관리하고, 차광막이나 차광도포제를 사용해 강한 햇빛을 차단함으로써 참외생육을 조장해야 한다.
특히 겨울철 온난한 기후로 인해 올해는 담배가루이, 총채벌레 등 병해충도 증가함으로써 작용기작을 달리하는 농약을 5~7일 간격으로 살포해 품질 저하를 예방해야 한다.
조기폐경농가는 토양선충을 예방하기 위해 고온기에 태양열 소독을 실시하되, 토양을 완벽히 밀봉하고 1회 물을 충분히 뿌려줘 한 달동안 토양온도를 높여야 토양선충 밀도를 95%이상 줄일 수 있다. 농업기술센터는 염류집적이 심한 농가일시 담수처리(물걸러내기)를 하거나 수단그라스를 오는 30일 이전까지 파종하길 당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