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암면 사곡리에 위치한 공단 내에 쓰레기 소각장이 설치된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주민들이 집단반발하고 나서 파장이 예상된다.
지난 7월부터 관외에 소재한 A기업은 용암면에 쓰레기 소각장 건립 의지를 밝히며 5~6명의 용암면민을 동원해 대구 경산 소재 쓰레기 소각장의 안전성을 소개하고 주민들에게 동의 서명을 받기 시작했다. A기업은 주민공청회를 열고 시설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홍보할 예정이었으나 현장에서 주민들의 압력으로 무산되기도 했다.
이에 용암 사곡리 주민을 중심으로 쓰레기 소각장 반대추진위원회가 구성되고 용암이장상록회, 생활개선회 등 사회단체들이 현수막을 내걸고 민원을 접수하는 등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용암면 사회단체 관계자는 "동네 젊은 청년들 몇몇이 집집마다 방문해 동의 서명을 받고 다닌다"며 "소각장은 인체에 무해하다는 등 터무니 없는 소리를 하고 있어 지역을 지키고자 면민 모두가 합심하게 됐다"고 밝혔다.
현재 장기적 환경보전을 위한 폐기물 처리업체 허가업무 처리고시에 따르면 쓰레기 소각장 사업조건은 설립부지 1km이내 범위의 거주자를 대상으로 50% 이상의 동의가 필요하다고 명시돼있다. 추정부지를 기준으로 해당 범위에는 사곡리, 용정1리, 상언2리가 속한다.
용정1리 주민은 "소각장 설립 동의를 하면 가구당 100~200만원 정도가 지급된다고 홍보했다"며 "동네 상황을 모르고 정보를 듣지 못한 어르신 30여명 정도가 서명한 것 같다"고 말했다.
쓰레기 소각장 반대추진위원회 관계자는 "현재 용암면 모든 주민들의 반대 서명을 받고 있다"며 "해당시설은 환경권과 건강권, 생존권 등을 침해할 뿐만 아니라 현재 소각시설의 완벽한 유해물질 제거 기술은 없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갈등이 지속되자 용암면 관계자는 정확한 현장 파악을 위해 해당 부지를 방문하고 관계자들과의 면담을 통해 민원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해당 현안을 경북도청에 문의한 결과 타당성 조사, 환경문제 등으로 건립이 어렵다는 답변을 받아 면민들에게 공지할 예정이다.
군청 환경과 관계자는 "소각장 건립 관련 신청이 들어온 것도 없고 소문으로 들리는 예상부지는 조례 및 지침상 소각장 건립이 어려운 곳"이라며 "상황을 판단하기엔 진전된 것이 아무 것도 없다"고 선을 그었다.
한편 성주군이 관리하는 생활폐기물 공공처리시설은 매립장 1곳, 소각장 1곳, 선별장 1곳이며, 민간이 허가받은 쓰레기 처리시설은 관내 총 117개이다. 이 중 시설이 가장 많은 곳은 용암, 선남, 월항 순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