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지역 특성상 성주군은 대도시와 비교해 각종 생활기반시설 및 복지서비스의 범위와 혜택이 제한적이지만 질적 향상을 위해 매년 증가된 복지예산을 투입하고 있다.   앞서 4회에 걸쳐 성주군 복지시설과 타지역의 선진복지사례에 대해 살펴봤다.   마지막 5회에서는 주민들을 비롯한 관내 시설에서 언급한 보완사항을 짚어보고, 군에서 계획하는 복지시설과 더불어 추가할만한 서비스 항목을 살펴본다.【편집자 주】 ▷1회 모든 군민이 소외되지 않는 복지가 되고 있나? ▷2회 우주봉의집과 열린지역아동센터 ▷3회 자활센터와 해솔예원의 집 ▷4회 타지역 선진복지정책 사례 ▶5회 지역맞춤형 복지서비스의 현주소 199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지방자치체도가 시행되면서 사회복지는 단체장과 지방의회 선거과정에서 가장 큰 화두로 떠올랐다. 이후 지역사회복지계획을 단계적으로 수립하는 등 지역사회와 더불어 맞춤형복지의 시스템과 중요성은 날로 높아지고 있다.   지역사회는 중앙정부 차원에서 기획된 복지정책이 집행되는 현장이며, 서비스를 이용하는 지역주민이 살아가는 오늘날 가장 중요한 곳이다.   이에 따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해 복지정책 우선순위와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앞선 회차에서 다뤘듯이 관내에는 기초생활보장 및 취약계층과 노인, 아동·청소년, 장애인 등의 복지서비스가 운영 중이다.   성주군에는 노인복지시설 13개소와 284개의 경로당이 위치해 있다. 284개의 경로당은 대한노인회 성주군지회가 위탁운영 중이며, 노인들의 다기능공간으로써 다양한 사업과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아동복지시설은 실로암육아원 1개소가 있으며, 지역아동센터는 총 4개소로 90여명이 복지서비스를 받고 있다.   해당 시설은 아동보호, 교육 기능, 정서적 지원, 문화서비스 등으로 지역사회 내 아동돌봄에 주력한다.   저소득층 및 취약계층을 위한 돌봄사회서비스를 진행 중인 성주지역자활센터는 근로능력이 있는 관내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에게 자활사업을 펼치고 있다. 대상자들의 창업이나 일반기업 취업을 목표로 삼고 독립적인 주체로 생활할 수 있도록 돕는다.   장애인을 위한 시설과 복지서비스도 존재한다. 장애인거주시설인 해솔예원의집을 비롯해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인 밀알센터, 수어통역센터, 장애인생활이동지원센터 등이 위치해있다.   해당시설들은 장애인의 사회적 불리와 제한 상황을 극복시키기 위한 재활훈련과 여가활동 등을 지원하고, 사회능력을 향상시켜 근로기회를 촉진하는데 앞장선다.   각 사회복지시설은 지자체와 연계해 주민 삶의 질을 높이는 다양한 사회참여 프로그램을 진행함으로써 그들의 권익을 보호하는데 주력한다.   군은 사회복지시설의 활성화를 위한 시설 운영비, 인건비 등을 지원하며, 사실상 지자체의 도움없이 시설이나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힘든 실정이다.   노인복지시설 관계자는 "대도시보다 의료기기나 긴급수송 장비가 없어서 많이 불편했는데 지난달 군의 도움으로 공모사업에 선정돼 차량을 지원받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앞으로 인구유출을 막고 삶의 만족도를 개선하려면 보다 질적으로 성장된 복지시스템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관내 사회복지시설 관계자는 "다른 지역도 성주군의 복지시스템에 대해 벤치마킹을 하지만 성주군도 발빠르게 좋은 시스템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며 "시설에서 주력하는 사업들이 군과 연계되면 시너지 효과나 만족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복지대상자들이 쾌적하고 즐거운 환경에서 사업을 경험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4회 차에서 다룬 울산의 선진복지정책 사례는 이같은 보완사항을 뒷받침하고 있다.   2019년에 울산광역시 청사에 오픈한 `아이갓에브리씽`이란 장애인 채용 카페는 지자체가 복지대상자(장애인)에게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면서 사업 만족도를 크게 끌어올린 바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급격한 소득증가에 따라 복지 욕구가 증가하면서 질적향상을 요구하는 서비스나 물질적, 정신적으로 소외되는 계층의 복지 욕구가 나날이 심화되고 있다.   특히 전형적인 농촌지역인 성주는 고령화 사회가 빠르게 진행됨으로써 노인복지와 더불어 인구유출을 막기 위한 복지시스템이 절실하다.   타사업이 그렇듯 모든 수요를 감당하기엔 재정적 한계가 있는만큼 자원 배분의 효율성을 간과해선 안된다.   사회복지에 종사하는 인적자원의 효과적인 활용법을 모색해 물적재원과 인적재원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이처럼 지자체의 관심도에 따라 사업지속도가 영향을 받는만큼 물적·인적재원의 한계를 해결할 수 있는 성주의 맞춤형 사회복지서비스가 개발돼 고용과 복지의 선순환이 구축되길 기대해본다.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습니다.
최종편집:2025-07-07 오전 09:25:42
최신뉴스
뉴스 > 기획취재

지역 맞춤형 복지로 '고용과 복지' 선순환 구축을


이지선 기자 / 입력 : 2020/09/15 00:00
트위터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URL복사
소외계층 복지욕구 갈수록 심화
자원 배분 효율성 중시해야

↑↑ 지난해 8월 사회복지의 날을 기념하고자 성밖숲에서 제4회 복지박람회가 열리고 있다.
ⓒ 성주신문
농촌지역 특성상 성주군은 대도시와 비교해 각종 생활기반시설 및 복지서비스의 범위와 혜택이 제한적이지만 질적 향상을 위해 매년 증가된 복지예산을 투입하고 있다.
 
앞서 4회에 걸쳐 성주군 복지시설과 타지역의 선진복지사례에 대해 살펴봤다.
 
마지막 5회에서는 주민들을 비롯한 관내 시설에서 언급한 보완사항을 짚어보고, 군에서 계획하는 복지시설과 더불어 추가할만한 서비스 항목을 살펴본다.【편집자 주】


▷1회 모든 군민이 소외되지 않는 복지가 되고 있나?
▷2회 우주봉의집과 열린지역아동센터
▷3회 자활센터와 해솔예원의 집
▷4회 타지역 선진복지정책 사례
▶5회 지역맞춤형 복지서비스의 현주소


199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지방자치체도가 시행되면서 사회복지는 단체장과 지방의회 선거과정에서 가장 큰 화두로 떠올랐다. 이후 지역사회복지계획을 단계적으로 수립하는 등 지역사회와 더불어 맞춤형복지의 시스템과 중요성은 날로 높아지고 있다.
 
지역사회는 중앙정부 차원에서 기획된 복지정책이 집행되는 현장이며, 서비스를 이용하는 지역주민이 살아가는 오늘날 가장 중요한 곳이다.
 
이에 따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해 복지정책 우선순위와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앞선 회차에서 다뤘듯이 관내에는 기초생활보장 및 취약계층과 노인, 아동·청소년, 장애인 등의 복지서비스가 운영 중이다.
 
성주군에는 노인복지시설 13개소와 284개의 경로당이 위치해 있다. 284개의 경로당은 대한노인회 성주군지회가 위탁운영 중이며, 노인들의 다기능공간으로써 다양한 사업과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아동복지시설은 실로암육아원 1개소가 있으며, 지역아동센터는 총 4개소로 90여명이 복지서비스를 받고 있다.
 
해당 시설은 아동보호, 교육 기능, 정서적 지원, 문화서비스 등으로 지역사회 내 아동돌봄에 주력한다.
 
저소득층 및 취약계층을 위한 돌봄사회서비스를 진행 중인 성주지역자활센터는 근로능력이 있는 관내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에게 자활사업을 펼치고 있다. 대상자들의 창업이나 일반기업 취업을 목표로 삼고 독립적인 주체로 생활할 수 있도록 돕는다.
 
장애인을 위한 시설과 복지서비스도 존재한다. 장애인거주시설인 해솔예원의집을 비롯해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인 밀알센터, 수어통역센터, 장애인생활이동지원센터 등이 위치해있다.
 
해당시설들은 장애인의 사회적 불리와 제한 상황을 극복시키기 위한 재활훈련과 여가활동 등을 지원하고, 사회능력을 향상시켜 근로기회를 촉진하는데 앞장선다.
 
각 사회복지시설은 지자체와 연계해 주민 삶의 질을 높이는 다양한 사회참여 프로그램을 진행함으로써 그들의 권익을 보호하는데 주력한다.
 
군은 사회복지시설의 활성화를 위한 시설 운영비, 인건비 등을 지원하며, 사실상 지자체의 도움없이 시설이나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힘든 실정이다.
 
노인복지시설 관계자는 "대도시보다 의료기기나 긴급수송 장비가 없어서 많이 불편했는데 지난달 군의 도움으로 공모사업에 선정돼 차량을 지원받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앞으로 인구유출을 막고 삶의 만족도를 개선하려면 보다 질적으로 성장된 복지시스템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관내 사회복지시설 관계자는 "다른 지역도 성주군의 복지시스템에 대해 벤치마킹을 하지만 성주군도 발빠르게 좋은 시스템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며 "시설에서 주력하는 사업들이 군과 연계되면 시너지 효과나 만족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복지대상자들이 쾌적하고 즐거운 환경에서 사업을 경험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4회 차에서 다룬 울산의 선진복지정책 사례는 이같은 보완사항을 뒷받침하고 있다.
 
2019년에 울산광역시 청사에 오픈한 '아이갓에브리씽'이란 장애인 채용 카페는 지자체가 복지대상자(장애인)에게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면서 사업 만족도를 크게 끌어올린 바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급격한 소득증가에 따라 복지 욕구가 증가하면서 질적향상을 요구하는 서비스나 물질적, 정신적으로 소외되는 계층의 복지 욕구가 나날이 심화되고 있다.
 
특히 전형적인 농촌지역인 성주는 고령화 사회가 빠르게 진행됨으로써 노인복지와 더불어 인구유출을 막기 위한 복지시스템이 절실하다.
 
타사업이 그렇듯 모든 수요를 감당하기엔 재정적 한계가 있는만큼 자원 배분의 효율성을 간과해선 안된다.
 
사회복지에 종사하는 인적자원의 효과적인 활용법을 모색해 물적재원과 인적재원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이처럼 지자체의 관심도에 따라 사업지속도가 영향을 받는만큼 물적·인적재원의 한계를 해결할 수 있는 성주의 맞춤형 사회복지서비스가 개발돼 고용과 복지의 선순환이 구축되길 기대해본다.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습니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유튜브페이스북포스트인스타제보
PDF 지면보기
오늘 주간 월간
출향인소식
제호 : 성주신문주소 : 경북 성주군 성주읍 성주읍3길 15 사업자등록번호 : 510-81-11658 등록(발행)일자 : 2002년 1월 4일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성고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45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최성고e-mail : sjnews1@naver.com
Tel : 054-933-5675 팩스 : 054-933-3161
Copyright 성주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