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군보건소(소장 염석헌)는 일본뇌염 경보 발령으로 군민들을 대상으로 예방을 위한 대군민 홍보에 나서고 있다.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가 전체 모기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일부지역(전북)에서 50%를 초과함에 따라 만15세 이하의 자녀를 둔 부모들은 자녀의 접종력을(5회) 확인하고 아직 접종하지 않은 경우 보건소나 병·의원을 방문해 예방접종을 받도록 당부했다.
표준예방접종 기준은 총5회로 기초접종(3회)은 1차(생후 12∼24개월), 2차(1차 접종후 7∼14일 사이), 3차(2차 접종일로부터 12개월 후), 추가접종(2회)은 4차(만6세), 5차(만12세)이다.
일본뇌염에 걸리지 않기 위해서는 예방접종 뿐만 아니라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긴 소매 옷차림으로 야외 활동을 하고, 물웅덩이 및 늪지대 등 모기 서식처를 제거하고 가축사육장 등 취약지역에 대한 살충소독을 강화할 것을 당부했다.
일본뇌염이란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의해 급성으로 신경계 증상을 일으키는 급성전염병으로 일단 뇌염이 발생하면 사망률이 높고 후유증 발생도 매우 높은 특징을 갖는다.
이 같은 일본뇌염의 전파경로는 일본뇌염 매개모기가 사람을 물어서 흡혈할 때 감염되며, 감염모기에 물린 후 4∼14일 후부터 증상이 나타난다.
3∼15세 어린이에서 발생빈도가 높으며, 바이러스가 돼지 체내에서 잘 번식하지만 사람끼리 전파는 되지 않는다.
일본뇌염에 대한 특이적인 치료법은 없으며 뇌부종, 경련, 고열, 호흡부전에 대한 대중요법이 증상을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신다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