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는 여름철 산사태로부터 도민의 인명과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경상북도 산사태대책상황실(이하 상황실)’을 10월 15일까지 운영한다.
상황실은 평소 기상상황파악 및 예방‧대비활동 등을 실시하고, 산사태위기경보와 기상특보가 발령될 경우 상황종료시까지 24시간 비상근무 체계로 전환해 단계별 대응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시‧군 산사태대책상황실, 산림청 산사태예방지원본부, 道 재난안전대책본부 등 유관기관과도 협조체계를 구축하고, 신속한 대응체계를 마련한다.
최근 기후변화로 2019년 7개의 태풍, 2020년 6~8월 최장(54일) 장마 등으로 산사태피해가 증가하고 있어 산사태 예방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고 있다.
이에 지난 4월 ‘2021년 산사태예방종합대책’을 수립해 산사태취약지역 관리를 강화하고 산사태 재난 안전망 구축에 노력하고 있다.
도내 산사태취약지역을 중심으로 산사태현장예방단, 임도관리원 등 가용한 인력을 활용해 현장점검 및 주민홍보활동을 실시한다.
특히 산사태취약지역 중 인명피해우려지역 인근 거주 주민들의 연락망을 정비하고 대피장소를 지정하는 등 주민대피체계를 구축‧관리해 선제적으로 주민대피를 실시할 계획이다.
또한 372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사방댐, 계류보전 등 산사태예방사업(사방사업)을, 128억원 예산으로 2020년 산사태피해지 복구사업을 우기전인 6월말 완료를 목표로 추진 중이다.
한편 산사태가 발생할 경우 적극적으로 장비‧인력을 투입시켜 추가피해방지에 주력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