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신공항이 국토교통부의 제6차 공항개발 종합계획에 최종 반영되면서 성공적인 건설을 위한 난관을 통과했다.
공항개발 종합계획은 5년 단위로 수립되는 공항분야 최상위 법정 계획이며 이번 계획에서 대구공항 이전사업과 관련해 대구·경북 등 권역 항공수요 확대와 지역성장 동력 창출을 위한 신공항 사업계획을 구체화했다.
사전타당성 조사 등을 통해 민·군 공항기능이 조화롭게 운영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민간 항공수요가 적기에 처리될 수 있는 시설을 계획하며 분야별 국가계획을 통해 도로·철도 등 신공항과 연계교통망 건설도 적극 추진될 예정이다.
또한 대구경북신공항이 가덕도 신공항과 같이 거점공항으로 지정돼 권역별 관문공항 기능을 수행할 예정이며 단거리 국제노선 문구가 사라짐으로써 앞으로 중·장거리 국제선 취항이 가능해졌다.
이에 경북도는 연간 1천만명 이상의 여객과 화물 26만t 이상을 처리할 수 있는 충분한 규모의 민항과 중장거리 노선을 위해 3천200m 이상 활주로 건설을 국토교통부에 지속적으로 요구할 방침이다.
이철우 도지사는 “대구경북신공항 및 연계교통망 건설을 위해 대구·군위·의성과 긴밀히 협의하고 여야정 협의체를 통한 국회와 정부차원의 재정지원과 국가계획 반영도 이끌어내도록 할 것”이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