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중에 자식에게 효도 받기를 원하면 부모님께 효도하자’는 말을 많이 합니다. 이 말은 부모님의 모범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강조하는 말입니다. 예절바른 아이로 자녀를 성장하게 하는데는 부모님이 몸소 예절 바르게 사는 것이 제일 중요합니다. 비록 시간이 걸리더라도 대상과 상황에 따라 예의바르게 행동하는 모습을 부모님께서 보여주시면 자녀들이 보고 배울 수 있습니다. 【편집자 주】 「孝」는 百行之源 이라고 합니다. 소중한 자기의 생명이 존재하게 된 근원을 생각하고, 그 근원을 성심 성의로 공경하고 사랑하는 것을 뜻합니다. 즉 자기의 생명의 근원을 경애하는 것이 효입니다. 따라서 효의 시원은 어버이와 자녀간에 형성되는 원초적인 관계로부터 출발되는 바, 효행은 자기를 낳아 주시고 길러주신 어버이를 성심 성의껏 섬기는 일입니다. 효의 지도는 부모가 모범을 보이는 것과 공경심을 갖게 하는데서 부터 시작되어야 합니다. ♡ 우리의 조상님들은 부모님을 이렇게 섬겼습니다. 거(居) : 살아 계실 때에는 뜻을 살펴 편안하게 해 드립니다. 치(致) : 사랑하는 마음으로 정성을 다하여 섬깁니다. 경(敬) : 자기를 낮추고 예의를 갖추어 공경합니다. 양(養) : 항상 좋은 음식과 물질로 잘 봉양합니다. 낙(樂) : 늘 기쁘고 즐겁도록 해드립니다. 우(憂) : 몸이 편치 않으실 때에는 정성껏 간호합니다. 상(喪) : 슬픈 일을 당하면 정성을 다해 모십니다. 제(祭) : 부모님의 덕을 가르치며 정성껏 제사를 모십니다. 엄(嚴) : 엄숙히 공경하고 삼가며 매사를 정성껏 모십니다. ♡ 오늘날, 우리는 이렇게 효를 실천합니다. ☞ 마음가짐 - 중요한 결정은 부모님께 꼭 말씀드리고 처리한다. - 부모님의 심정을 깊이 헤아려서 행동하는 마음을 갖는다. - 부모님께 걱정을 끼쳐드리지 말고, 즐겁게 해 드리려는 마음을 갖는다. ☞ 몸가짐 - 부모님 앞에서 몸가짐을 바르게 갖는다. - 부모님께 물건을 드릴 때에는 두 손으로 공손히 드린다. - 부모님 앞에서 얼굴을 부드럽게 하고 밝은 표정을 지닌다. ☞ 말과 행동 - 정성과 예절로 부모님과 웃어른을 공경한다. - 부모님이나 웃어른께 반드시 높임말을 사용한다. - 집을 나설 때나 돌아와서는 부모님께 말씀을 드린다. ‘효의 근원’은 부모님의 사랑에 대해 자식으로서 자연적으로 우러나오는 경애와 보은의 정신입니다. 그러므로 효도는 자녀의 도리이기에 앞서 인간의 도리입니다. 이를 실천하기 위하여 우리는 나를 바르게 세우고 어버이를 공경하고, 나아가 사회의 웃어른을 공경해야 합니다. 필자: 재구 성주중고 동창회장 대구 유아교육카톨릭협회 회장 사단법인 전박사몬테소리연구소 부회장
최종편집:2025-05-15 오후 05:36:24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유튜브페이스북포스트인스타제보
PDF 지면보기
오늘 주간 월간
출향인소식
제호 : 성주신문주소 : 경북 성주군 성주읍 성주읍3길 15 사업자등록번호 : 510-81-11658 등록(발행)일자 : 2002년 1월 4일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성고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45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최성고e-mail : sjnews1@naver.com
Tel : 054-933-5675 팩스 : 054-933-3161
Copyright 성주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