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립이 안고 있는 가장 큰 문제는 매립한 쓰레기가 분해되는데 걸리는 시간입니다. 종이는 5개월, 오렌지 껍질 6개월, 담배 필터 1년, 우유팩 5년, 나무젓가락·종이컵은 20년 이상, 나일론천 30~40년, 플라스틱·스티로폼 용기 50년 이상, 음료수 병·캔·칫솔 100년 이상, 종이기저귀는 500년 이상 소요된다고 합니다. 소각은 폐기물을 처리하는 모든 과정에서 유해한 결과를 낳습니다. 소각되는 동안 이산화탄소, 다이옥신, NOx 등 유해가스를 방출하여 대기를 오염시키며 소각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산재(Flying Ash)는 주변 대기환경에 악영향을 주고 잔존재(Bottom Ash)는 매립되어 토양을 오염시킵니다.   게재순서01. 지구온난화와 탄소중립1. 국제기후변화협약과 탄소중립2. 탄소세와 탄소배출권, RE-100과 친환경 소재산업3. 탄소중립과 지방자치단체(1) 탄소중립에 앞서가는 지자체의 선택(2) 탄소중립에 역행하는 지자체의 논리02. 매립과 소각1. 2026·2030 종량제 직매립 금지 법안의 함정2. 탄소중립과 소각, 공존가능한가?3. 유럽의 소각정책 vs 우리나라03. 플라스틱과 비닐, 왜 태우나?1. 플라스틱과 비닐이 석유된다는 사실 아시나요?2. 폐플라스틱의 화학적 재활용이란 무엇?3. 친환경 소재산업은 미래의 블루오션(1) 동원산업과 SK지오센트릭의 아름다운 동행(2) 페플라스틱 화학적 재활용 클러스터 출범04. 탄소중립시대와 성주군1. 역대 최고 매출 성주참외 농업과 탄소중립2. 탄소중립시대 지자체가 나아가야 할 방향3. [맺으며] 탄소중립과 성주군의 현명한 선택     인류는 기술의 발전으로 생산, 유통 등 다양한 산업활동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물건을 구입하고 사용하는 등 소비생활을 합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게 있습니다. 바로 `쓰레기(폐기물)`입니다. 우리 일상생활에서 생산되는 쓰레기는 크게 생활 쓰레기와 산업 쓰레기로 분류됩니다. 지금까지 쓰레기의 양은 점점 증가해 왔으며 우리는 오랜 세월 이러한 쓰레기 처리를 위해 <매립하는 방법>과 <소각하는 방법>으로만 처리해 왔습니다.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생활 쓰레기들을 친환경적으로 처리할 방법이 미흡했던 시절 오로지 땅에 묻거나 태워 없애야만 했던 처지를 이해하지 못할 바는 아닙니다. 감당하기 어려울 만큼 쏟아져 나오는 쓰레기들을 곁에 쌓아두고 살 수는 없었을 터이니 말입니다.그러나 매립과 소각으로 인해 우리가 삶을 이어가야 하는 지구환경을 오염시키고 온난화를 가속시켜 인류의 생존 자체를 위협하기에 이른 상황이라면 우리는 지금과 같은 관성적이고 안이한 태도를 벗고 보다 전향적이고 현명한 방법을 강구하지 않으면 안 될 것입니다. 1. 매립의 문제점과 대책매립지는 조성될 때부터 주변의 환경을 훼손합니다. 넓은 구릉지나 계곡의 나무를 베는 토목공사로 인해 동물 서식지 파괴 등 생태적 피해를 발생시키는 한편, 폐기물의 침출수 유출로 주변 수역의 수질오염을 일으킵니다, 또한 매립지에는 열악한 환경에 저항성이 높은 설치류, 조류, 곤충 등이 대량 서식하게 돼 보건 위생상 악영향을 끼치고 유해가스, 악취 등은 생활환경의 질을 떨어뜨리고 주민 건강을 위협하는 중대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매립이 안고 있는 가장 큰 문제는 매립한 쓰레기가 분해되는데 걸리는 시간입니다. 종이는 5개월, 오렌지 껍질 6개월, 담배 필터 1년, 우유팩 5년, 나무젓가락·종이컵은 20년 이상, 나일론천 30~40년, 플라스틱·스티로폼 용기 50년 이상, 음료수 병·캔·칫솔 100년 이상, 종이기저귀는 500년 이상 소요된다고 합니다.이미 존재하고 있는 매립장을 당장 없애버릴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노력해야 할 것은 첫째, 매립되는 양을 대폭 줄이는 노력과 둘째, 이미 매립된 가분해성 폐기물들을 다시 파내어 열분해 등 친환경적 방식으로 재처리하는 등 그 절대량을 줄여나가야 하는 것입니다. 2. 소각의 문제점과 대책우리나라에서 소각(燒却)이 쓰레기 처리의 거의 유일한 대안으로 자리잡게 된 배경은 이러합니다. 1978년부터 15년간 서울시의 쓰레기를 매립하던 난지도에 더 이상 쓰레기를 버릴 수 없게 되자 김포에 새로운 매립지를 마련하게 됩니다. 그러나 주민들과의 오랜 갈등과 협상과정에서 애를 먹었던 정부당국은 쓰레기를 소각하는 방식으로 눈을 돌리게 됩니다. 2000년대 들어 서울 쓰레기 전량을 태워 없애겠다며 대형 소각시설 건설 계획을 세운 정부는 그 첫 삽을 노원구 상계동에서 8개월간의 주민 반대 농성을 뚫고 강행하였고, 그로부터 20여 년이 흐른 현재 대형 소각시설들이 서울의 동서남북에 우뚝 서 CO2와 다이옥신을 하늘로 뿜으며 소각시설 전국 확산에 톡톡히 기여하였습니다. 소각은 폐기물을 처리하는 모든 과정에서 유해한 결과를 낳습니다. 소각되는 동안 이산화탄소, 다이옥신, NOx 등 유해가스를 방출하여 대기를 오염시키며 소각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산재(Flying Ash)는 주변 대기환경에 악영향을 주고 잔존재(Bottom Ash)는 매립되어 토양을 오염시킵니다. 소각방식이 안고 있는 중대한 문제 가운데 하나는 폐기물 재활용 또는 저온열분해 시스템 등 대안정책 수립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지방자치단체의 소각방식 선호와 채택은 폐기물 처리의 효율적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는 열분해 유화시스템의 진입장벽을 높이고 있습니다. 지난 20여 년의 기술향상 과정을 거쳐 세계 최고 수준에 도달한 국내 열분해 유화시스템에 대해 2018년 이후 SK, LG 등 국내 굴지의 대기업들이 적극 참여하고 있다는 사실이 그나마 향후 전망을 밝게 하고 있습니다. 소각로는 가장 유독하고, 비싸고, 위험하고, 기후를 오염시키는 주범 가운데 하나입니다. 과잉 생산과 소비로 인한 폐기물 처리에 있어 소각만이 유일한 해결책인 양 과대 광고되고 있는 것도 커다란 문제이며 기후 위기에 대한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해결 방안들을 가로막고 있다는 점에서 그 심각성이 큰 것입니다, 소각방식은 석탄발전보다 에너지 단위당 68% 더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합니다. 그러나 각 지자체들이 `소각이 모든 것을 해결해 줄 것`이라는 잘못된 정책 판단으로 친환경적 해법이나 재생가능 에너지 활용 방안조차 외면하고 있는 것은 여간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3. 탄소중립과 소각 - 공존 가능한가탄소중립의 근본 취지는 탄소배출을 줄이자는 것입니다. 우리가 탄소배출을 줄여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지구온난화 때문입니다. 작년 여름 지구인들은 지난 수십 년을 통틀어 가장 뜨거운 여름을 보내야 했습니다. (그림 참조)구테흐스 UN사무총장은 COP 총회에서 “지구온난화 시대는 끝났다. 지구가 끓는 시대에 돌입하였다.(The era of global warming is over. The era of global boiling has arrived.)”라고 경고하였습니다. 지구온난화란 대기 중에 있는 온실가스가 지표로부터 방출되는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지구가 더워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지구온난화는 사막화, 해수면 상승, 생태계 변화 등의 부정적 효과를 일으켜 결과적으로 지구상에서 인류의 지속적인 생존을 위협하게 될 것입니다. 그래서 전 세계는 한 목소리로 탄소중립을 외치고 있습니다. 산에 나무를 심거나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을 개발하는 것 또한 그러한 노력의 일환이지만 그 효과가 장기간에 걸쳐 나타나게 되는 반면, 가장 직접적이고도 즉각적으로 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 것은 소각을 줄이는 방법 뿐입니다. 그런 점에서 탄소중립과 소각은 절대로 공존할 수 없는 것입니다.    
최종편집:2024-05-07 오후 05:29:23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유튜브페이스북포스트인스타제보
PDF 지면보기
오늘 주간 월간
출향인소식
제호 : 성주신문주소 : 경북 성주군 성주읍 성주읍3길 15 사업자등록번호 : 510-81-11658 등록(발행)일자 : 2002년 1월 4일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성고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45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최성고e-mail : sjnews1@naver.com
Tel : 054-933-5675 팩스 : 054-933-3161
Copyright 성주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