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4일) 이상민 행정안전부장관, 우동기 지방시대위원장, 홍준표 대구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정부서울청사에 모여 대구·경북 행정통합 추진방안을 논의했다.
대구·경북 통합 필요성과 관련해 홍 시장과 이 도지사는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 및 지역경쟁력을 높이고자 양 광역자치단체의 통합이 시급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이 장관과 우 위원장은 인구감소, 지방소멸 등 국가적 위기상황과 수도권 집중을 극복하기 위해 정부가 구상하고 있는 행정체제 개편방향과 부합한다며 통합의 필요성을 공감했다.
통합의 기본방향으로는 대구경북 합의안에 기초한 통합추진, 정부차원의 지원방안 마련 등이 제시됐다.
이철우 도지사는 “통합을 통해 우리나라의 행정체계를 바꿔 수도권 및 비수도권의 균형발전을 꾀함으로써 저출생과 지방소멸 등의 위기를 막아야 한다”며 “단순히 대구경북만 통합하는 것이 아닌 중앙의 권한을 많이 내놓아야 하고 대한민국의 완전한 새판을 짜는 기회가 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우선 500만 시·도민이 공감할 수 있는 통합방안을 마련하고 시·도의회의 의결을 거쳐 올 연말까지 특별법 제정을 추진키로 결의했다.
또한, 정부는 대구경북 통합이 행정체제 개편의 선도사례가 될 수 있도록 직·간접적 비용지원 및 행·재정적 특례 부여방안을 검토키로 했다.
향후 정부는 합의안을 적극 지원코자 관계부처가 참여하는 ‘범정부 통합지원단’을 구성해 정부 차원의 지원방안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오는 2026년 7월 1일 통합자치단체를 출범시키고자 올해 안으로 특별법을 제정하기 위한 관련절차를 이행키로 합의했다.
한편, 행정통합 실무단에서 합의안이 마련되면 2차회동을 열어 추가적인 논의를 이어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