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군 주변엔 약 3백만 명의 인구가 운집한 도시들이 자리잡고 있다. 많은 사람들은 군이 자랑하는 천혜의 자연경관과 문화유적들을 활용하여 이들을 관광객이나 행락객으로 끌어들여야 한다고 목청을 높이고 있다.
그런데 과연 우리 주변에 가보고 싶고 자랑할 만한 번듯한 볼거리가 있는가. 중점적으로 개발한 백운동은 상가만 있고 이용객은 뜸하며 많은 돈을 들여 복원하고 있는 독용산성은 찾는이없이 홀로 바람만 맞고 있다. 또 천혜의 자원이라고 자랑하는 무흘구곡도 태풍 「루사」에 만신창이가 되어있다. 한개 민속마을이나 세종대왕자태실, 심산기념관 등은 점점 퇴락하고 있다. 또한 거자수와 참외 등을 활용한 축제도 우리만의 잔치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래도 과거 영화만 추억하고 사람들이 오기를 고대하고 있으니 날아가는 새도 웃을 지경이다.
인근지역은 눈부신 변신 시도
주변을 돌아보자. 인근 고령군은 대가야 문화유적을 복원하여 명성을 날리고 악성 「우륵 기념관」 건립, 낙동강 기념숲 조성 등 날로 비약하고 있다. 또 김천시는 직지사를 중심으로 시민공원을 조성하여 관광자원화하고 고속철역사 건립, 혁신도시유치 등 괄목할 만한 변신을 시도하고 있다. 칠곡군 역시 전쟁기념사업, 각종 물류단지 유치, 아카시아축제 등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고 있고, 우리와 경쟁관계에 있다고 볼 수 있는 청도군은 소싸움 축제를 국제적 행사로 발전시키고 있다.
반면 우리는 입으로는 천혜의 자연경관과 문화유산을 자랑하면서도 머리로는 이를 활용하여 관광자원화하는 지혜는 발휘하지 못했다. 많은 이들은 재정부족과 창의적인 리더(지도자)의 부재를 탓하지만 정작 실천하는 열정이 없고 눈앞의 이익에만 급급한 주민성향에 기인했다고 아니 할 수 없다. 왜 인구가 줄어들고 세수가 부족하며, 상권이 휘청거리고 교육이 망가졌는지 그 원인을 찾아야 한다.
철옹성 같은 규제의 벽에 막혀 발길을 돌리는가 하면, 참외! 참외! 만 외치면서 미래예측에 소홀했으며, 기득권유지에만 집착해 유능한 인재발굴을 외면했고 타 농촌지역보다 비교적 높은 소득에 자만해서 단합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하면 너무 심한 타박인가.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획기적이고 차별화 된 관광산업 육성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사람과 돈 몰리는 거대산업 육성해야
우선 우리가 가진 자산의 이점과 취약점을 파악하고 관광산업과 관련된 모든 계획을 전면 재검토하여 타당성과 효율성을 검증하고 장기적이고 미래지향적인 관광자원을 창출해야 한다. 즉 사람 몰리고 돈되는 「거대 PROJECT」를 추진해야 한다. 여수에 초고층 빌딩을 위시한 컨벤션센터 건립이나 해남의 해양복합레져타운, 울진의 해양공원 건립 등은 타산지석으로 삼을 만하다.
둘째는 사업시행에 차질을 줄 수 있는 각종 규제를 과감히 혁파해야 한다. 주민들도 내 욕심만 챙기지 말고 모두가 잘사는 길을 선택하고 양보할 수 있어야 한다. 사업전담팀을 만들어 「ONE-STOP서비스」를 시행하는 사례는 좋은 본보기이다.
셋째는 지도자의 강력한 의지와 열정적인 추진력이 필요하다. 지도자는 무엇보다 「공공의 이익」창출에 전념해야 하고, 여기에 부합되는 사업을 발굴하여 각종 규제를 해소하고 반(反)성향을 설득하여 동참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또한 지속적으로 사업진행에 걸림돌을 제거하여 순조로운 추진을 보장해야 한다.
얼마전 우리나라에 세계에서 5번째로 「유니버샬 스튜디오」를 만든다고 발표했다. 워낙 유명하고 볼거리가 많아 어떤 곳에 있던지 사람들이 구름처럼 몰려든다. 외국의 대형 「해수어수족관」을 봐도 부럽기는 마찬가지였다. 우리는 바다가 없기에 「담수어수족관」은 어떨까도 생각해 봤다. 이런 관광자원 1개소만 있어도 성주군민은 모두가 춤을 출 것이다.
고을 주(州)자를 지명으로 쓰고있는 지방은 과거의 번성과 영화를 바탕으로 오늘날 괄목할 만한 변신을 거듭하고 있다. 유일하게 성주만 군 단위 행정구역으로, 낙후된 농촌지역으로 남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방선거 출마자들도 유권자 표몰이에 전전긍긍하는 소심함을 버리고 지역발전의 청사진을 제시하고 유니버샬 영화사 회장을 만나 유치작전을 벌인다면 자연스레 몰표가 갈 것인데.....
서태호 편집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