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나라의 국력을 평가하는데 인구의 크기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지방정부도 인구수는 지역미래를 좌우하는 사활적 문제로 대두된 지 이미 오래다.
더욱이 우리나라는 2018년을 고비로 인구가 줄어들기 시작해 2050년경에는 4천2백만명 선을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전체 인구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우리지역 인구를 늘린다는 것은 그 만큼 타지역 인구가 줄어들어야 한다는 논리인데 각 지자체마다 다양한 인구유입 방안을 강구하고 있어서 일반적인 시책으로는 인구증가는 기대하기 어렵다.
이런 차제에 며칠 전 郡에서 인구유입시책 발표회를 열고 고민할 기회를 가진 것은 매우 시의 적절했고 고무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제시된 시책의 가치와 영속성은 본말의 「줄기」냐 「가지」이냐에 따라 결정될 문제이지만 분명한 것은 일반적이고 통상적인 접근방식으로는 실마리를 찾지 못한다는 것이다.
장기적인 측면에서 지역발전 도모는 일자리 창출, 교육의 질적 향상, 인프라구축의 세가지 조건을 충족시켜야 가능하다.
일자리가 있어야 젊은 인구유입이 가능하다. 젊은 인구유입은 자식생산 기능에 의해 인구증가의 상승효과를 거둘 수 있어 은퇴자나 노년층 유입과는 비할 바가 아니다. 교육의 질적 향상은 인구유출을 막을 뿐만 아니라 유입이 가능한 유효한 방안중의 하나며, 인프라 구축 특히 도로망의 확충은 물류와 기업체 유치, 인구의 자연스런 이동, 도심의 개발여파와 압출요인을 흡수할 수 있는 최대 최고의 관건이다.
문제는 이러한 세 가지 요소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는다는데 있다. 올바른 마인드를 가지고 끈질긴 노력과 적극적이고 과감한 추진력만이 해결할 수 있다.
연간 실질적인 사업비 7백억∼8백억원에 불과한 재정규모를 찢어발기듯 집행해서는 언제나 우물안 개구리 신세를 면치 못한다. 선택과 집중의 지혜가 필요한 것도 이 때문이다.
한해 약 7백여명씩 줄어드는 인구감소 추세에 군민들도 멀리 내다보고 인내하며 힘과 지혜를 모아야 할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