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지난 21일 발표한 농가경제조사 결과에 의하면, 2006년 농가소득은 농가당 연간 3천2백30만3천원으로 전년 3천50만3천원에 비해 5.9%(1백80만원) 증가했다.
또한 가계지출은 농가당 연간 2천8백46만1천원으로 전년 대비 6.8%(1백81만2천원) 증가했으며, 소비지출(식료품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지출)과 비소비지출도 농가당 연간 1천9백89만1천원과 8백57만1천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2.6%·17.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6년말 현재 농가당 자산은 3억5천6백96만3천원으로 전년 2억9천8백17만8천원에 비해 19.7%(5천8백78만5천원) 증가했고, 농가부채는 2천8백16만1천원으로 전년 2천7백21만원에 비해 3.5%(95만1천원)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경북지역 농가들의 경우에는 한해 벌어들이는 소득에 비해 금융기관에 진 부채비율이 크게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경상북도에서는 지난해 11월 2005년도 도내 농가의 가구당 평균 소득이 2천7백81만7천원으로 전년도에 비해 3.1% 증가했다고 밝혔다.
道 농가의 평균 농업소득은 전체소득의 48%인 1천3백24만2천원으로 제주도에 이어 전국 2위를 차지했고, 농외소득은 6백99만5천원(25%)·기타 소득이 7백58만원(27%)으로 나타났다.
이때 농가부채는 평균 2천1백2만5천원으로 전년 대비 14.1% 감소했으나 소득대비 부채비율은 75.6%에 달해 농가부채로 인해 안정적인 영농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성주군 역시 높은 소득만큼 과중한 농가부채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한미 FTA 추진 등으로 농산물 시장개방이 확대되면서 농가부채 문제는 더욱 악화될 위기에 놓여있다.
그럼에도 행정기관에서는 지역 부채 규모에 대한 정확한 실태조차 파악되어 있지 않음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 일각에서는 『「농가부채가 다른 지역의 1.5배를 상회한다」, 「지역농가의 2/3 이상이 5천만원에서 1억원 정도의 부채는 가지고 있다」는 등의 일설만 떠돌고 있는 실정』으로 『정부가 농가부채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지만 효과는 미미한 수준』이라고 토로했다.
아울러 『지역의 심각한 부채문제 해결은 지자체와 일선 농협 등에서의 적극적 역할 수행 없이는 어려울 것으로, 이들이 연계한 이차보전 등 지원책 마련이 절실하다』며 『이를 위해 먼저 농가부채의 규모와 실상에 대한 정확한 실태파악이 급선무』라고 주장했다.
한편, 지자체에서의 농가부채 대책을 마련한 모범사례로는 장수군 농업경영회생기금 사업이 꼽히고 있는데, 장수군에서는 자체 조례에 근거해 무이자 3년 거치 7년 균등상환을 조건으로 가구당 5천만원 이내에서 지원하고 있다.
이를 위해 1백억원 조성을 목표로 매년 20억원씩 5년 간 기금을 적립해 지난 2004년부터 지원하고 있으며, 농가 스스로 경영상태를 진단해 사업계획을 세우고 심의위원회에서 타당성을 평가하여 지원하고 지속적인 사후관리를 통한 경영회생을 목표로 하는 것이 특징이다.
/정미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