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도지사 김관용)에서는 한·미 FTA 협상 타결에 따른 과수·과채류 분야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중앙정부에 건의문을 제출하는 등 대책 마련을 위해 나섰다 .
道는 지난 13일 경북농업인회관에서 학계, 품목별 생산자단체 대표, 독농가, 도·시군 관계공무원 등 6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과수·과채류 분야 대책회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는 향후 한·미 FTA협상 체결에 대비한 과실·과채류 분야의 경쟁력 제고 방안에 대해 모색함은 물론 생산 현장의 의견 수렴을 위한 다양한 논의가 이어졌다.
지난 2일 타결된 협상결과에 따라 과수·과채류 부문에서는 오렌지 등 기타 과실 수입증가에 따른 국산 과실류 및 과채류 소비 감소가 예상되어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취약한 「참외」를 비롯하여 사과·복숭아·포도·고추·마늘 생산농가에 파장이 클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생산량 점유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아 직·간접 피해가 예상되고 있는 「성주참외」를 비롯한 사과·포도·복숭아·자두 등은 경쟁력 제고를 통한 국가지원 정책이 필요하다는 데에 의견을 모았다.
道는 경북은 전국에서 참외 80%, 사과 60%, 포도 46%, 복숭아 41%, 자두 83%, 고추 29% 등을 생산하는 과실·과채류 주산지로, 지난 2004년부터 중장기 과수·과채류 발전 대책과 병행하여 FTA 기금 지방자율사업을 통해 경쟁력을 제고시켜 왔다고 밝혔다.
이때 주요사업으로는 과수 FTA기금 생산유통 현대화사업, 과원폐업, 과원정비지원사업, 과원관리 전용농기계 지원, 과수대체작목개발 지원사업, 친환경 채소생산지원사업, 새소득작목육성사업 등이 있음을 함께 전했다.
이날 대책회의에서는 한·미 FTA협상에 체결에 따른, 과수·과채류 분야의 수입개방 영향과 道 단위 품목별 경쟁력 제고 방안 등을 설명하고 산·학·연·관 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중앙에 건의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처키로 했다.
아울러 과실·과채류 구조개선을 위해 향후 4년 간 중점 추진하고자 하는 6개 사업의 국비지원분 5천67억원을 중앙정부에 지원해줄 것을 건의키로 했다.
이때 지원을 요청한 사업은 △참외하우스 개폐기 지원사업 2백3억원을 비롯해 △저위생산 과원폐업지원 4천2백40억원 △신선편의 과실·과채류 공급센터설치지원 2백억원 △과원관리 전용농기계지원 1백44억원 △친환경농자재 지원 1백60억원 △원예작물 브랜드 육성지원사업 1백20억원이 있다.
/정미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