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타인의 도움 없이 일상생활이 어려운 독거노인이 급증함에 따라 이를 위한 사회적인 안전망 확충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보건복지부는 홀로 사는 노인들의 안전 확인, 정서적 지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독거노인 생활지도사 파견사업」을 실시할 계획을 밝혔다.
이번에 실시하는 독거노인 생활지도사 파견사업은 저소득층에게만 지원하는 기존 복지사업과는 달리 소득수준, 부양의무자 유무, 주민등록상 동거자 유무에 관계없이 실제 혼자 살고 있는 사실만으로 이 서비스를 받게 된다.
독거노인 생활지도사는 각시·군·구 단위로 선발과 교육을 마치고 6월부터 각 사업수행기관에 배치하게 된다.
이때 사업수행기관은 시·군·구에서 노인대상 보건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기관 중 기존 독거노인 복지서비스 One-stop 지원센터나 노인복지관 등 2백13개소를 지난 5월에 지정 완료했다.
보건복지부는 독거노인 생활지도사를 활용하여 우선 독거노인에 대한 생활실태조사를 전국적으로 일제히 실시하고 보호관리대상자를 오는 7월 말까지 선정할 계획이다.
조사내용은 독거노인 88만명의 가족 및 주거상황, 경제·건강상태, 여가·사회참여 활동, 가족 또는 이웃과의 사회관계, 받고 있는 복지서비스 및 보건·복지욕구 등이다.
이번 실태조사 결과에 따라 기존의 가사·간병도우미, 노-노케어, 자원봉사 등의 서비스지원을 받고 있지 않는 독거노인 약 15만명을 선정하여 오는 8월부터 안전확인과 생활교육 실시 및 필요서비스를 연계 지원하여 줌으로써 최소한의 사회안전망이 마련될 전망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독거노인 생활지도사 파견사업은 신규사업으로 기존의 저소득중심 지원에서 독거의 생활형태에 대한 지원체계를 개발하는 것』이라며 『독거노인에 대한 보편적인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과 최소한의 사회적인 접촉을 통해 독거노인보호를 위한 사회서비스를 확충하며 나아가 4∼50대 여성의 사회적 일자리 창출로도 이어질 것』을 기대했다.
/정미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