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고령화에 대비하기 위한 공무원 교육이 지난 16일 군청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성주군의 경우 6월말 현재 인구수는 4만6천1백69명으로, 이 중 노인인구가 1만1백45명으로 22%를 차지하고 있고 또 합계출산율은 1.05명으로 전국 평균 1.17명에 비해 저출산·고령화가 심각한 수준이다.
하지만 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 및 자체 정책개발 능력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전문가로 하여금 효율적인 정책 대응 방안에 대한 해법을 얻고자 郡 산하 공무원 3백여명을 대상으로 교육을 가졌다.
이번 교육은 저출산 고령사회연구센터 고령사회정책팀장인 정경희 박사가 강의를 맡아 저출산 고령화 현상 및 향후 추이 저출산 고령화 시대의 중앙 및 지방정부의 역할 등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정치·경제·사회·문화적 영향·파급효과에 대해 강의했다.
정 박사는 “여성의 초혼연령이 '95년 25.4세에서 '00년 26.5세, '06년 27. 8세로 점차 늦어지고 있다”며 “또한 초산연령 또한 '95년 26.5세에서 '00년 29세, '06년 30.4세로 늦어지는 등 결혼과 출산이 늦어지면서 저출산의 큰 원인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저출산은 세계적인 문제로 이를 성공적으로 극복한 외국의 사례를 보면 스웨덴으로 대표되는 북유럽 국가의 경우 남녀평등을 기본 모토로 가사·육아의 남녀 부담이 공평한 것이 특징이다”고 말했다.
아울러 “프랑스로 대표되는 불어권은 자녀 양육에 대한 경제적 지원이 활발하고, 미국으로 대표되는 영미권의 경우 다민족 국가의 특성상 이민자의 높은 출산율이 눈에 띈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독일로 대표되는 독일어권 국가와 스페인으로 대표되는 남유럽 등의 저출산국가의 경우 일과 가정의 양립 곤란 및 지원 미흡 그리고 가톨릭 문화의 영향으로 성 분업적 역할규범 유지가 특징”이라며 “저출산의 가장 큰 원인이 출산·양육에 따른 경제적 부담과 일과 가정의 양립 곤란임을 감안하며 이에 따른 정책대응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주신애 보건소 지역보건담당은 “이번 교육이 정책의 실효성을 확보하고 출산율 회복과 적정인구 유지 및 고령사회에 성공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경각심을 제고하는 데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또한 김기자 담당자는 “저출산 현상을 겪고 있는 국가 대부분이 가부장적이고 성분업적 역할규범을 강조하는 전통문화의 영향이 큰 것이 특징”이라며 “우선적으로 출산의 1차 당사자인 여성을 생각하는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미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