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으로서 공식석상에서의 발언을 책임지지 않고. 상황에 맞춰 손바닥 뒤집듯 쉽게 말 바꾸기 하려 든다면 지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없다” 지난 7일 성주참외축제 평가보고회에서는 지난해부터 격년제로 변경해 추진하고 있는 축제 개최 주기에 관해 열띤 설전이 오간 가운데, 안정적으로 자리 잡기까지 매년 개최해야 한다는 쪽으로 잠정 결정을 내렸다. 지역을 대표하는 축제는 지역의 정체성을 드러내며, 지역 이미지를 만들어 낸다. 이런 의미에서 축제를 내실화하기 위한 이번 결정은 환영받을 일이지만, 축제를 지역경제 유발효과와 축제 참관 인원을 뻥튀기 식으로 홍보하며 전시성 행사로 여는 것이 아닌가에 대한 우려의 시각도 있다. 즉 단체장이 임기 중 표심을 의식한 선심성 행정에 치우쳐 혈세를 동원해 자신의 얼굴 알리기에 힘쓰다 보니 실질적 소득은 없는 요란한 빈수레에 그치고 마는 것이 아니냐는 것. 李 군수는 열악한 재정구조상 많은 예산과 인력이 투입됨을 감안해 축제주기를 격년제로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한 후 축제가 원 목적에 맞게 지역을 살리는 실질적인 방안이 되기 위해서는 연례적 개최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하지만 축제가 지역경제를 살리는 문화산업임을 잘 알면서도 왜 유독 5·31 지방선거가 있은 지난해 예정됐던 참외축제에서는 군수와 집행부가 격년제 개최의 당위성에만 힘을 실어 주장했느냐에 대해 의문을 품지 않을 수 없다. 집행부는 지자체의 열악한 재정상태를 우려한 것이 아니라 단지 축제에서 기관장의 축사·시상 등이 선거법상 논란의 여지가 있다는 이유로 미개최를 선택한 것이라고 보인다. 지난 2005년 11월 24일 군수를 포함한 14명의 추진위원이 모여 축제 추진계획을 논의하는 자리에서 농민단체들은 축제가 우리 참외의 우수성을 홍보하는데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강력히 주장했었다. 또한 우리 지역 특산물인 참외를 소재로 한 유일한 축제로서 현행 매년 개최로 추진해 농민들의 사기진작에 관심을 기울여 달라고 적극 촉구했다. 하지만 당시 집행부는 참외축제가 참외 및 우리 지역의 자연환경·문화를 알리는 데 홍보 효과가 있으나 격년제로 추진하고, 남은 예산을 미개최년도에 참외 관련 선전에 이용하는 것이 홍보에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봤다. 이에 단체장도 격년제 개최 시 참외축제 행사에 투입되는 일정예산을 참외생산 및 홍보에 적극 투자할 용의가 있음을 내비쳤고, 결국 격년제로 추진하기로 뜻을 모아 의결했다. 이 시점에서 1년 8개월 여가 지난 7일 추진위원들과 군의원 집행부에서는 같은 사안을 두고 전혀 다른 결과를 도출해 냈다. 이는 그토록 격년제의 당위성을 주장하던 군수와 집행부가 주도적으로 연례 개최를 주장하고 나섬에 따른 것. 배명호 추진위원은 행정이 일관성이 없기 때문에 논란이 일어났음을 강력히 추궁한 후 이는 선거법을 우려한 것으로, 지역축제의 주인은 주민이 아닌 군수 위주의 행사로 흘러갔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렇다면 지방선거가 있는 해에는 선거법에 따라 참외축제를 개최할 수 없었나? 아니다. 郡도 선관위에 질의해서 제한사항만 지켜진다면 축제 개최 자체는 무방하다는 사실과 군보조금 지원으로 민간이양을 추진하는 방안도 있었음을 알고 있었다. 그럼에도 미개최 쪽으로 결정한 것은 축제에 있어 단체장의 축사와 시상 등을 축제 개최로 인한 긍정적 효과보다 크게 생각한 때문이 아니겠는가. 지난 2005년 축제추진위에서는 위원 대다수가 격년제로 추진하자는 의견을 보이기에 '격년제'를 추진키로 의결한다고 선포했었다. 그런데 금번 보고회에서는 개최시기로 격년제가 결정된 바가 아니며 단지 선거를 앞두고 논란의 소지를 없애기 위해 작년 한해만 '보류'시킨 것으로, 대다수 의견을 좇아 연례적으로 개최하는 것이 옳다고 잠정 결정냈다. 이번 결정은 본격적인 하계휴가 기간에 열렸기 때문에 각계각층이 포함된 18명의 추진위원 중 7명이 불참한 가운데, 군수를 비롯해 기획실장·총무과장·주민생활지원과장 등 집행부의 강력한 의지로 도출해낸 결과라는 데에 걱정이 앞선다. 확고한 목적의식 없이 단체장의 의사에 따라 일관성 없는 행정이 추진되고, 이를 보좌해야 할 공직자 역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아닌지 우려되는 것이다. 이 같은 결정으로는 오는 2010년 지방선거 때 같은 고민으로 걱정해야 할지 모른다. 그러나 지역축제는 단체장의 ‘생색내기용 정치 이벤트’가 아니라 지역적 개성과 역사적 전통성 및 문화적 필연성을 획득하고 있는 ‘지역공동체의 문화축제’가 돼야 한다. 이것이 전제될 때 지역축제는 지역경제를 살리는 대표적인 문화산업이 될 수 있다. 이제 집행부는 열악한 재정 속에서도 수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축제를 성공적으로 자리잡기 위해 매년 축제를 열게 됐다는 데만 의미를 두지 말고 최소한의 투자로 최대의 효과를 얻는 ‘효율성 제고’에 주력해야 한다. 지역축제가 주민에서 출발한다는 사실을 명확히 인식하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찾아내 성주참외축제를 세계적인 축제로 발전시켜 나간다면 ‘개최주기’ 자체는 논쟁의 거리도 안 된다. 특히 여주 참외축제를 비롯해 예천 참외전시품평회와 인근 칠곡에까지 참외품평회가 열리는 현실을 감안할 때, 전국을 대표하는 성주참외축제의 내실을 다지기 위해 더욱 연구·노력할 것을 촉구한다.
최종편집:2025-05-14 오후 05:22:55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유튜브페이스북포스트인스타제보
PDF 지면보기
오늘 주간 월간
출향인소식
제호 : 성주신문주소 : 경북 성주군 성주읍 성주읍3길 15 사업자등록번호 : 510-81-11658 등록(발행)일자 : 2002년 1월 4일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성고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45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최성고e-mail : sjnews1@naver.com
Tel : 054-933-5675 팩스 : 054-933-3161
Copyright 성주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