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군 법정전염병인 ‘쯔쯔가무시증’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성주군보건소(소장 염석헌)에서는 지난해 가을철 발열성 질환인 ‘쯔쯔가무시증’ 발생률이 성주가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97건으로 나타나는 등 고위험 지역이라고 밝혔다. 이 질환은 전국적으로도 매년 발병률이 증가하는 추세로, 최근 5년 간 발생현황을 살펴보면 2002년 1천9백19건에서 2003년 1천4백86건, 2004년 4천6백97건, 2005년 6천7백84건, 2006년 6천4백40건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지난해의 경우 인구 10만명당 환자수로 봤을 때 성주는 204.9명으로 고령 2백79.1명에 이은 전국 2위의 불명예를 안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지난달 30일 보건소 보건교육실에서는 부읍장 및 보건지소, 보건진료소 담당자가 참석한 가운데 ‘쯔쯔가무시증 예방관리에 대한 특별대책회의’가 열렸다./ 염 소장은 “쯔쯔가무시증은 지역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다”며 “생명에는 크게 지장이 없다지만 지역민들에게 큰 고통을 주는 만큼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 발병을 감소시키면 주민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백달현 예방의약담당의 인수공통전염병 가을철 발열성질환 쯔쯔가무시증에 대한 교육을 통해 “지역에서는 지난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발병은 물론 용암면에서 한명이 사망하는 등 그 심각성이 크다”며 “읍·면에서는 예방을 위한 홍보활동에 최우선해 달라”고 당부했다. -쯔쯔가무시증, 그 실체는? 제3군 법정전염병인 쯔쯔가무시증은 1951년 서부전선 영국군 2명·미군 4명에서 발생한 이래 최근 점차 증가추세에 있다. 이 질환은 10월부터 12월 그리고 추석을 전후해서 많이 발생하며 재감염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고, 천적은 무당벌레로 근래 무당벌레가 사라져 가며 개체수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최근 쯔쯔가무시증이 증가하는 것은 △지구 온난화 등 기후적 영향(기온, 홍수, 태풍 등) △야외활동 증가 △친환경에 따른 농약 살포 감소와 논밭두렁 쥐불놀이 금지·비닐하우스 작업 등 농업형태의 변화 △매개체 방제 약품 및 방제 방법 미비 △교육 및 홍보 부족을 이유로 꼽고 있다. 임상적 특성을 살펴보면 잠복기가 6∼21일로 다양한데 보통은 10∼12일이며, 좀진드기 유충에 물린 부위에 생긴 궤양이 검은 가피로 덮히는 반흔이 특징적이다. 또 심한 두통, 발열, 오한이 갑자기 발현하고 발병 5일 이후 발진, 국소성 또는 전신성 림프절 증대, 비장 비대, 발병 3주 후 신경 증상이 발현한다. 이 질환은 기침·발열·발진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 발진성 열성 질병으로 심한 경우에는 작은 수포와 농포가 형성돼며 요통·오심·구토·허탈감·식욕감퇴·기침·가래·복통 등의 증세가 나타날 수도 있다. 만일 치료를 하지 않으면 열이 약 14일 정도 계속되며, 고령자의 경우 사망할 수도 있다. 고령자의 사망률은 높다/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 성주군보건소에서는 쯔쯔가무시증 대비책으로 아래의 사항을 당부하고 있다. ◇작업 전 대책 ·풀밭에서 눕거나 잠을 자지 않는다. ·주변에 불필요한 풀숲을 제거하고 주변환경을 깨끗이 한다. ·비 온 후에는 개울가 주변 풀밭에 되도록 가지 않는다. ·논이나 고인 물에 들어갈 때는 고무장갑과 장화를 꼭 착용한다. ◇작업 시 대책 ·야외 활동 시에는 겉옷과 노출된 피부에 기피제를 뿌려 해충을 방지한다. ·작업 시에는 기피제 처리한 작업복과 토시를 착용하고 진드기가 기어 들어오지 못하게 소매와 바지 끝을 단단히 여미고 장화를 신는다. ·야외활동이나 작업 시 풀밭 위에 옷을 벗어 놓지 않는다. ·휴식이나 새참 먹을 땐 풀밭에 그냥 앉지 말고 꼭 돗자리를 펴서 앉거나 돌 위에 앉고 사용한 돗자리는 세척후 햇볕에 말려서 사용한다. ·작업 중 급하더라도 풀숲에 앉아서 용변을 안 본다. 특히 여성은 주의해야 한다. ◇작업 후 대책 ·작업 후에는 피곤해도 즉시 샤워와 목욕을 해 몸에 붙은 진드기 등을 제거한다. ·작업 후에는 입었던 작업복, 속옷, 양말 등을 꼭 세탁해서 사용한다. ·논밭 작업이나 야외활동 후 두통, 고열, 고한과 같은 심한 감기 증상이 있거나 벌레에 물린 곳이 있으면 지체 말고 보건소나 병·의원을 찾는다. /정미정 기자
최종편집:2025-05-14 오후 05:22:55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유튜브페이스북포스트인스타제보
PDF 지면보기
오늘 주간 월간
출향인소식
제호 : 성주신문주소 : 경북 성주군 성주읍 성주읍3길 15 사업자등록번호 : 510-81-11658 등록(발행)일자 : 2002년 1월 4일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성고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45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최성고e-mail : sjnews1@naver.com
Tel : 054-933-5675 팩스 : 054-933-3161
Copyright 성주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