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왕이 창제한 훈민정음은 자음(초성)17자, 모음(중성)11자 모두 28자인데 자음은 발음기관의 모양을 본떠서 만들어졌다. 어금니 쪽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형상(ㄱ)인 어금닛소리(牙音), 혀가 윗잇몸에 닿는 형상(┗)인 혓소리(舌音), 입술 모양의 형상(□)인 입술소리(脣音), 이의 형상(∧)인 치음(齒音), 그리고 목구멍의 형상(○)인 목소리(喉音)의 다섯 글자(ㄱㄴㅁㅅㅇ)가 자음의 기본 글자이다. 여기에 각각 획을 더하여 ㄱㅋ/ㄴㄷㅌㄹ/ㅁㅂㅍ/ㅅㅈㅊㅿ/ㅇㆁㆆㅎ 17자가 된 것이다. 모음은 천·지·인(天·地·人) 삼재(三才)를 본떠서, 하늘의 둥근 모양(ㆍ), 땅의 평평한 모양(ㅡ), 사람의 서있는 모양(ㅣ)을 기본 글자로 삼았다. 여기에 음양의 대립으로 배합함으로써 초출자(初出字) ㅗㅏㅜㅓ, 재출자(再出字) ㅛㅑㅠㅕ를 더하여 ㆍㅡㅣ/ㅗㅏㅜㅓ/ㅛㅑㅠㅕ 11자가 된 것이다. 그리하여 모두 28자인데 1933년 지금의 한글학회 전신인 조선어학회에서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제정하면서 ㆍㅿㆁㆆ 넉 자를 제외하여 24자가 되었다. `업`의 초성인 ㆆ와 `읍`의 초성인 ㆁ는 `욕`의 초성인 ㅇ와 비슷하고, 중성 ㆍ는 ㅏ와 비슷하기 때문이다. ㅿ는 영어의 z음과 비슷한 것인데, 이 글자가 없어지면서 남쪽에서는 이 `마슬`로, 서울 쪽에서는 `마을`로 변했다." 70여 년 전 양주동 교수의 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명강의 노트의 일부다. 세종 10년(1428년) 진주 사람 김화라는 이가 제 아버지를 살해했을 때 세종대왕은 통탄했다. "모두가 나의 잘못이다." 국왕으로서 만백성이 성인의 도를 잘 따르도록 가르쳤다면 이런 일이 벌어지지 않았을 것이라는 자괴감이었다. 그래서 대왕은 역대 충신과 효자를 가려뽑아 그 행실을 편찬하고, 글 모르는 백성을 위해 그림도 곁들여 편집하도록 했다. 그로부터 6년 뒤 발간된 것이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다. 그러나 패륜 사건은 사라지지 않았다. "그림을 붙였으나, 백성이 글을 모르니 그 뜻을 어찌 알 수 있겠느냐." 그 후 왕은 칩거하는 시간이 많아졌다. 9년 뒤 (1443년 12월) 대왕은 생전 듣도 보도 못한 글자 28자를 불쑥 제시했다. "이 달에 임금이 28자를 지었는데…. 이것을 훈민정음이라 불렀다." 조선왕조실록 세종 25년 12월 맨 마지막 조에 날짜 없이 적힌 대목이다. 그동안 세종대왕은 훈민정음 창제에 밤낮으로 심혈을 쏟았다. 그로 인해 안질이 나서 이를 치료하기 위하여 청주 초정에 거동할 때, 농사철 민폐가 없도록 모든 절차를 열에 아홉은 덜고 정무까지도 다 의정부에 맡겨버리게 되었는데, 훈민정음의 연구 발명의 일만은 요양을 위주하는 행재소(行在所)에까지 가지고 가서, 쉬지 않고 연구에 골몰하였다. 훈민정음이 완성되자 그 창제 목적을 실천하기 위하여 궁궐 내에 정음청을 설치하고 대제학 정인지를 비롯하여 최항, 박팽년, 신숙주, 성삼문, 이개, 이선로 등 집현전 학사 7인과 돈녕부 주부 강희안을 합하여 8인으로 하여금 글자를 다듬고 창제 원리와 해례, 용례를 정리하도록 했다. 오늘날 우리 생각에는 그때 조야가 훈민정음 창제를 크게 반기고 기뻐하며, 대왕의 성덕의 가이없음을 우러러 기리어 마지아니하였을 것 같지만, 사실은 이와 반대로, 곧 반대 의론이 크게 일어나 그 시행에 이르기까지 파란 곡절이 많았다. 사대부와 유생들의 분위기는 험악해졌다. 부제학 최만리는 장문의 상소를 올렸다. 왜 사대(事大)에 거스르며 엉뚱한 일로 국정을 혼란에 빠뜨리려 하느냐는 것이었다. "모두 옛것에 반대되니 만일 중국에라도 흘러들어가 비난을 사게 된다면 어찌 대국을 섬기고 중화를 사모하는 데 부끄러움이 없다 하겠습니까. …새 글자를 따로 만드는 것은 중국을 버리고, 스스로 오랑캐와 같아지려는 것이니 어찌 문명의 큰 흠이 되지 않겠습니까.…" 왕의 멱살을 움켜쥔 것이나 다름없었다. 중국 운운한 것은 폐위 위협이었다. 정창손, 하위지, 김문 등 집현전의 주력 학사들이 그와 함께 했다. 세종은 새 글자로 `삼강행실도` 언해본을 편찬하도록 응교 정창손에게 지시했다. "언문으로 삼강행실을 번역하여 민간에 반포하면 어리석은 남녀가 모두 쉽게 깨달아서 충신, 효자, 열녀가 반드시 무리로 나올 것이다." 정창손은 이렇게 되받았다. "그럴 리 없습니다. 사람이 행하고 행하지 않는 것은 사람의 자질 여하에 있는 것인데, 어찌 꼭 언문으로 번역한 후에야 사람이 모두 본받을 것입니까." 대왕은 최만리와 그에 동조하는 직제학 신석조, 직전 김문, 응교 정창손, 부교리 하위지 등을 불렀다. 여전히 기세등등했다. 백성이 글자를 알아야 송사에서 억울함을 줄일 수 있는 것이 아니냐는 대왕의 설명에 "그건 관리의 자질에 달려있는 것이지 백성이 글자를 알고 모름과 무관합니다"라고 맞받았다. 대왕은 더 단호했다. "지금 쓰는 이두(吏讀)도 본뜻이 백성을 편하게 하려 함이다. 그러나 이두도 한자에서 따온 것이어서 백성이 알기 힘들다. 내가 만든 문자도 백성을 편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어찌하여 너희는(이두를 지었다는 신라의) 설총은 좋아하고, 너희들이 섬긴다는 임금은 그르다 하는가. 너희가 운서(韻書)를 아는가, 사성(四聲)·칠음(七音)에 자모(字母)가 몇이나 있는지 아는가." 정창손의 언설을 거론한 뒤 "진실로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자들"이라며 의금부에 하옥시켜 버렸다. 문자 창제는 왕위는 물론이고 생명까지 건 사업이었다. 세종대왕은 28자를 처음 알리고 2년 10개월 동안 실제로 써보고 다듬어 부족함이 없음을 확인한 연후에 세종28년(1446년) 9월 상순에 이를 반포하였다. 9월 실록의 맨 마지막 조에도 역시 날짜 없이 "이 달에 훈민정음이 이뤄졌다"로 되어 있다. 문자 창제에 대한 구체적인 기록이 남아있지 않는 것으로 보아 극히 비밀 계획하에 진행된 것을 알 수 있다. 편전의 일까지 사사건건 기록하던 사관도 이전까지 이 문자 창제에 관해서는 일언반구도 하지 않았다. 목숨 걸고 창제한 백성의 문자, 훈민정음(訓民正音).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이다. "우리나라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는 서로 통하지 아니한다. 이런 까닭에 어리석은 백성들이 말하고자 하는 것이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내가 이것을 가엽게 생각하여 새로 스물여덟 글자를 만드니 모든 사람들로 하여금 쉬이 익혀서 날마다 쓰는 데 편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 `훈민정음`에서 대왕이 몸소 하신 말씀이다. 이렇게 탄생한 한글은 "문자 창제의 배경과 원리 그리고 철학이 분명한 유일한 문자, 가장 과학적인 표기체계를 가진 문자"(언어학자, 하버드대 라이샤워 교수)로 평가되고 있다. 언어학자 촘스키는 "한글은 환상적인 꿈의 언어"라며 극찬했다. 미국 여류작가 펄 벅은 한글을 전 세계에서 가장 단순하고 읽기 쉬운 가장 훌륭한 글자라고 치켜세우며 세종대왕을 한국의 레오나르도 다빈치에 비유했다. 독일 함부르크대 사세 교수는 "세종대왕은 서양보다 500년이나 앞서 음운론(音韻論)을 완성했다. 한글은 전통 철학과 과학 이론이 결합한 세계 최고의 문자다"라고 격찬했다. 1989년 유네스코(UNESCO)에서 제정한 문맹퇴치 공로상의 이름은 `세종대왕 문해상`으로 명명된 바 있다. 이어서 1997년 `훈민정음 해례`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기도 했다. 세계적인 과학잡지 Discovery는 1994년 7월 호 특집에서 한글의 우수성을 `세계에서 가장 합리적인 글`이라는 말로 표현했다. 국제연합 개발계획 리포트(2007-2008년)는 OECD 국가 중 최상의 독해능력을 가진 국가로 우리나라를 꼽으며, 정보통신 강국의 원동력이 한글에서 비롯됐다고 분석했다. 2012년 `세계 문자 올림픽`에서는 한글이 2년 연속 1위에 올랐다. 세계에서 유일하게 발음기관을 본떠서 만든 과학적인 문자로 배우기 쉽다는 언어학적 요소가 높이 평가를 받은 것이다. 한글의 우수성과 창제의 세계사적 의미를 잘 보여주는 책 가운데 하나가 노마 히데키 일본 국제교양대 교수가 쓴 `한글의 탄생―문자라는 기적`이다. "한글은 입 모양을 본떠 음(音)의 분명한 형태를 부여했고, 자음 자모뿐 아니라 다양한 모음 자모에도 형태를 줬으며, 자음과 모음을 합쳐 만드는 음절도 형태화한 점에서 특별하다. 문자 구조로 볼 때 알파벳은 기본적으로 자음만을 나타내는 문자였으며, 아랍문자 역시 모음 문자가 없고 필요할 때마다 기호를 사용했다. `훈민정음`은 언어학이 20세기가 되어서야 마침내 만난 음소(音素:낱말의 의미를 구별 짓는 최소 소리 단위)라는 개념에 이미 도달해 있었다. 이는 세종이 `왕과는 비교도 안 될 만큼 막강한 상대`였던 당시의 `한자한문 중심 역사·세계`와 정면으로 맞서지 않았다면 불가능한 일이었다. 한글 창제는 `혁명`이자 `목숨을 건 비약`이었다"고 했다. 한글의 큰 장점은 다양한 음을 표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본문자 가나(假名)의 경우 종성을 표기하는 글자가 하나밖에 없기 때문에 언어를 제대로 표기하기 어렵다. 반면 한글은 여러 가지 입체적 음을 한 글자에 쉽게 표시할 수 있다. 14개 자음과 10개의 모음을 조합하면 자연계의 소리를 거의 모두 표현할 수 있어(1만1000개), 일본어(300개), 중국어(400개)와는 비교가 안 된다. 영어로는 우리 말을 표현하는 데 어려움이 많지만 한글로는 영어 발음의 90% 이상을 표기할 수 있다. 영어를 공부할 때는 발음기호를 이중으로 익혀야 하지만 한글은 철자와 발음이 일정하기 때문에 그런 수고를 덜게 된다. 한글은 오늘날 정보시대에도 적합하다. 정보기술(IT) 매체에 궁합이 잘 맞는 문자다. 한글의 컴퓨터 업무 능력은 한자에 비해 7배 이상의 경제적 효과가 있다고 평가된다. 휴대폰을 사용할 때는 더욱 빛을 발한다. 휴대폰의 문자 입력 방식은 연관성 있는 글자를 하나의 자판에 모으고 자음과 모음을 구별하는 등 한글 창제의 기본원리를 적용하고 있다. 때문에 철자 하나를 입력하는데 필요한 타수에서 영어보다 35% 정도 빠르다고 한다. 한글은 우리의 자긍심이고 자존심이며 우리가 잘살 길을 열어줄 고마운 글자다. 우리 문화 창조의 도구요 문화 경쟁의 최신 무기다. 외국인들은 우리 말글을 알아주는데도 우리는 남의 말글을 섬기고 배우는 데 더 힘과 돈을 바치고 있으니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한글은 세계에서 가장 훌륭한 문자이자 우리 겨레의 으뜸 보물인데 제대로 쓰지 않았던 것을 반성하고 한글을 만든 세종대왕과 한글을 지키고 살린 분들에게 감사하면서 한글을 잘 이용할 길을 찾아 우리 자주 문화를 꽃피우고 인류문화 발전에 이바지하도록 노력하자. 한글을 고마워하자. 한글을 사랑하자.
최종편집:2024-04-25 오후 07:00:10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유튜브페이스북포스트인스타제보
PDF 지면보기
오늘 주간 월간
출향인소식
제호 : 성주신문주소 : 경북 성주군 성주읍 성주읍3길 15 사업자등록번호 : 510-81-11658 등록(발행)일자 : 2002년 1월 4일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성고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45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최성고e-mail : sjnews1@naver.com
Tel : 054-933-5675 팩스 : 054-933-3161
Copyright 성주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