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대 성주군의회 출범 후 집행부를 상대로 한 첫 군정질문이 지난 8일부터 3일간의 회기로 열렸다. 7명의 기초의원 중 5명이 초선인 만큼, 경험과 전문성 부족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만만찮았지만, 전반적으로 군 주요 시책에 대한 정확한 파악과 예리한 질의를 통해 집행부와의 긴장관계를 도출한 점은 의욕적인 출발로 비쳐진다.
저출산 극복을 위한 산부인과 의사 확보 방안, 빈집 정비를 통한 농촌체험장 조성, 오지마을 유선방송 보급, 포괄보조금 전담부서 신설 방안 등 지역민의 다양한 목소리를 전달하며 대의기구로서의 역할에 충실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때론 의욕도 과유불급이 될 수 있다. 첫날 지역교육에 대해 질의한 모 의원의 경우를 예로 들 수 있겠다. 지역의 영원한 화두인 `교육`을 첫 군정질문 논지로 잡은 것은 일단 돋보인다. 교육발전위원회에 대한 충분한 양의 자료수집도 성실했다.
그런데 뭔가 미심쩍다. 회의 활성화를 위해 사단법인 교육발전위원회 임원, 특히 사무국장을 지명해 공무원으로 개편할 용의는 없는지에 대한 답변을 요구하며 장장 30여분을 담당 과장과 설전을 벌인 것은 볼썽사납다. 군의원과 사단법인 임원 교체는 영역 밖의 문제이며, 더구나 단순한 임원 교체와 관련해 그 귀한 시간을 소요했다는 것은 더욱 찝찝하다.
간과할 수 없는 요인이 배경에 있는 건 아닐까. 그렇다. 해당 군의원과 교발위 해당 임원은 지역 내 두 곳의 언론사 발행인으로서 5년여를 경쟁관계로 지내왔다. 올해로 교발위 창립 16년째가 된다. 그동안 척박한 지역교육 여건 하에서 전 군민이 발버둥 칠 때, 그의 모습은 어디에도 없었다. 군의회에 입성하자마자 모종의 작정이라도 한 듯이 임원 교체 운운하며 사심 군의원의 면모를 여실히 드러낸 모양새가 되고 말았다.
좀 더 신사적이고 정당한 방법을 택했어야 했다. 진정 지역교육을 걱정했더라면 행동하는 양심과 그간의 교발위에 대한 협조가 우선이지 않겠는가. 현 상황은 군의원 대 교발위 입장이 아닌, 자칫 양 언론사간 흠집내기로 비쳐질 수 있어 부끄럽기 짝이 없다.
군민의 대의기관인 군의회 의원은 군민의 머리이자 가슴이고 입이다. 군민이 그들을 대표로 선출해 의회로 보낼 때는 신뢰와 희망을 동시에 담고, 제 역할을 잘해줄 것으로 잔뜩 기대한다. 동시에 우리를 대신해 각 부서의 예산집행 내역뿐만 아니라 행정 전반에 걸친 포괄적인 감시와 견제를 해주는 대가로 매월 약 300여만원의 급여를 우리가 지불하는 우리의 일꾼이다.
군의원을 어른 대접하는 낙후된 지역 정서도 답답하기 그지없다. 권리는 스스로 찾을 때 더욱 값진 법이다. 군민은 두려운 존재임을 명심하고, 더욱 낮은 자세로 사심 없는 의정활동을 펼치기를 진심으로 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