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산악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함에 따라 겨울철 등산객들의 산행 안전사고 주의가 요구된다.
경북소방본부에 따르면 지난 7일 10시 59분경 문경시 주흘산에서 주부 양모(여, 50)씨가 하산하던 중 눈에 미끄러져 3m 아래로 떨어져 허리를 다쳐 119구조대에 의해 병원에 이송됐다. 앞서 6일에는 포항시 청하면 내연산에서 성모(남, 70)씨가 하산 중 미끄러져 발목을 삐어 응급처치를 받았다.
또 지난 1일 12시 40분경 구미시 금오산에서 정모(여, 60)씨가 발목을 삐어 119에 의해 병원에 이송되는 등 금년들어 1주일 사이에 8명의 산악 안전사고가 발생했다.
경북소방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겨울철(12~2월) 동안 140명의 산악 안전사고가 발생했으며 그중 발목을 삐는 등 안전부주의에 의한 기타사고가 60건(43%)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일반조난 35명(25%), 실족·추락이 24건(17%), 개인질환이 18건(13%), 낙석에 의한 사고가 3명(2%) 순으로 나타났다.
월별로는 12월이 42명, 1월이 41명, 2월 57명 순으로 나타났다.
금년에도 1월에서 2월에 눈으로 인한 사고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등산객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겨울 등산은 눈을 동반한 추위로 인해 저체온증을 유발하기 쉬워 보온·안전장비 등 더욱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또한 심혈관질환자는 단독으로 산행을 자제하고 여러명이 함께 등산을 해야 안전사고가 발생했을 때 신속히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특히, 겨울철에는 산이 평지보다 빨리 어두워지고 하산이 2배 이상 걸리기 때문에 산악안전사고 예방을 위해서 하산은 반드시 오후 4시까지 해야 한다.
한편 경북소방본부는 겨울철 등산객 안전사고를 대비해 도내 주요 산에 있는 119산악위치표지판 1천442개소를 정비, 조난등 위험사항 발생시 신속한 출동에 대비하고 있다.
최병일 경북소방본부장은 "산악 안전사고는 주로 무리한 산행과 안전 부주의가 원인이다"며 "본인의 체력과 건강상태에 맞는 등산로를 정해 충분한 준비운동과 산의 지형을 잘 파악한 후 산행해 줄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