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와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수력원자력(주), 영남대 등 6개 기관은 지난 29일 지역상생 신재생에너지 확대보급을 위한 상호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협약 당사자들은 수상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개발사업 활성화를 통한 기술개발과 산업육성 등을 위해 민관 협력체계를 구축하기로 합의했다.
또한 지역주민이 참여하는 지역상생 모델을 구현하고 경북형 그린뉴딜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상호간 협력키로 결정했다.
이번 협약체결로 안동 임하댐에 1천179억원을 사업비를 투입해 국내 최대인 56MW 규모의 수상태양광 발전단지 조성사업이 추진될 예정이다.
향후 경북도는 안동댐, 군위댐, 김천 부항댐 등 8개 댐에도 총 사업비 1조3천643억원을 투입해 648MW 규모의 수상태양광 발전단지를 확대 조성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경북도와 안동시, 한국수자원공사는 환경영향성을 사전에 검토하고 민관협의체를 구성한 후 주민참여방안 등을 수립해 국내 1호 신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를 신청할 계획이다.
신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란 ‘신에너지 및 신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제27조에 의한 환경친화적 신재생에너지발전시설(40㎿이상)을 설치 및 운영하기 위한 구역이다.
적합한 신재생에너지 자원과 주민수용성, 부지·기반시설 등을 확보하고 집적화단지 지정시 해당 지자체는 신재생공급인증(REC)을 추가로 부여받으며 지방세수에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수상태양광은 수면 위 부력체에 태양전지판을 설치한 후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이며 부력체와 태양전지 모듈을 사용해 수생태계 및 주변 환경에 영향이 없다.
뿐만 아니라 수중생물 산란장소를 제공해 어류생태계가 활성화되는 효과가 있어 신재생발전 가중치 부여 등 국가적으로 장려되고 있는 운영형태다.
한편 경북도는 에너지분야 그린뉴딜 추진사업으로 경북도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지정, 수소연료전지 발전 클러스터 조성사업 등 7조3천13억원의 규모의 그린뉴딜사업을 시행한다.
이를 통해 일자리 3만2천개를 창출하는 등 지역사회에 이익을 환원하는 뉴딜사업이 추진될 전망이다.
하대성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지자체와 공기업, 지역대학간의 협력방안을 공고히 하고 임하댐 수상태양광 시범사업이 지역민이 체감하는 경북형 그린뉴딜의 신호탄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