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은 2021년도 (재)성주군별고을장학회(이하 장학회) 신규사업을 확대 개편하고 지역 학생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골고루 성장할 수 있는 명품교육 환경을 제공해 ‘청소년이 행복한 성주군 만들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토요일마나 열리는 중학생 예체능 프로그램’ 지난 5월부터 관내 중학생의 건강한 여가, 문화생활을 선도하고자 중학생 예체능 프로그램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이 사업은 입시중심의 학력심화 프로그램인 성주군별고을교육원의 역할과 기능을 보완하고 많은 청소년들이 쉽고 즐겁게 문화, 예술, 스포츠 분야에서 꿈과 끼를 발산하는 등 진로탐색 기회를 접할 수 있도록 성주군과 장학회가 야심차게 기획한 신규 프로그램이다. 청소년 예체능 프로그램의 본격 실행을 위해 지난해 하반기부터 장학회 이사회는 심도 있는 논의를 거쳐 사업방향과 대상을 결정했으며, 관내 중학생을 대상으로 선호강좌 수요조사를 실시해 3가지 프로그램(일러스트, 클라이밍, 드럼)을 최종 선정했다. 또한 학생들이 흥미와 몰입감을 가지고 참여할 수 있도록 계명대학교 평생교육원과 관학협력을 체결해 우수한 강사진을 초빙했다. 이에 성주에 거주하는 중학생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도록 선착순으로 모집을 진행했으며, 그 결과 42명 모집에 70여명의 학생이 신청해 예체능 프로그램에 대한 많은 기대와 관심을 보여줬다. 올해 선발된 학생들은 5월부터 10월까지(총 6개월간) 매주 토요일(09:30 ~12:30)마다 관내 종합사회복지관(일러스트), 수륜중 및 왜관인공암벽장(클라이밍), 청소년문화의집(드럼)에서 기초부터 심화단계의 예체능 프로그램을 교육 받는다. 장학회가 처음 시행하는 사업인만큼 예체능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프로그램 시행 결과에 따라 보완해 이를 지속적으로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비대면 교육으로 안전한 영어학습기반 시스템 제공’ 지난 2020년 하반기부터 관내 중학생이라면 누구나 무료로 영어를 배울 수 있는 글로벌 인재육성 프로그램이 마련됐다. 원어민과 함께하는 1:1 전화‧화상영어 지원사업은 코로나19로 중학생 해외어학연수 시범사업이 불가능하게 되자 장학회에서 비대면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으로 변경 추진한 사업이다. 성주군에 거주하고 영어에 관심있는 중학생은 누구나 신청 가능하며, 참가학생들은 레벨테스트 후 수준별 맞춤교육으로 주 5회, 하루 10분씩 매일 원어민과 1:1 영어수업을 받을 수 있다. 상반기, 하반기 각 3개월간 수강할 수 있으며, 교육 신청은 모집기간내(4월, 7월) 학교에 신청서를 제출하면 된다. ‘입시전문가 1:1 맞춤형 진로·진학 컨설팅’ 장학회는 매년 도·농 정보격차 해소와 급변하는 입시제도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최고의 입시전문가를 초청해 정보를 제공하고 전략설계를 지원하는 입시설명회를 개최하고 있다. 지난 2019년 ㈜메가스터디교육 남윤곤 입시전략연구소장과 EBS 윤윤구 선생을 초빙해 대규모 입시설명회를 개최했으며, 지난해에는 코로나19로 집합교육이 불가능하자 노량진 대성학원 진학컨설팅 강사 3명의 입시 전략가를 초빙했다. 그 결과 참여학생과 학부모의 97%정도가 “매우만족”을 표시하는 만족도조사가 도출됐으며, 이를 반영해 올해는 고등학교 전 학년으로 확대 추진된다. 또한 8월 중 여름방학 시기에 맞춰 2022학년도 대입 수시 전형을 대비코자 관내 고등학교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1:1 입시 컨설팅 및 진로‧진학상담을 실시할 예정이다. 참가자들은 컨설팅으로 최근 농어촌전형 입시결과 및 사례를 분석해 입시정보자료와 학생별 학교생활기록부 및 모의고사 성적표를 기초로 2022학년도 대입 지원전략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는 7월 중 각 학교를 통해 상담을 신청하면 된다. 이병환 장학회 이사장은 “100억원 조성을 위해 뜻을 모아주신 여러 기업, 단체, 군민들의 성원 덕분에 현재 68억원의 장학기금이 조성됐다”며 “여러 기탁자들의 뜻을 대신해 우리군의 명품교육환경 확립에 더욱 박차를 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최종편집:2025-08-14 오후 06:42:01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유튜브페이스북포스트인스타제보
PDF 지면보기
오늘 주간 월간
출향인소식
제호 : 성주신문주소 : 경북 성주군 성주읍 성주읍3길 15 사업자등록번호 : 510-81-11658 등록(발행)일자 : 2002년 1월 4일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성고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45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최성고e-mail : sjnews1@naver.com
Tel : 054-933-5675 팩스 : 054-933-3161
Copyright 성주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