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은 지난 8일 성주 성산동 제48호분(대분)의 학술발굴 조사를 위해 경북문화재단 문화재연구원과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제86호인 성산동 고분군은 성주를 대표하는 중심 고분군이다. 그 중에서도 제48호분의 크기가 제일 커 ‘대분(大墳)’이라 불린다.
성산동 고분군은 1917년 조선총독부의 ‘조선고적조사사업’의 일환으로 실시된 현장조사에 의해 그 분포와 위치가 처음 학계에 알려졌다.
고분군에 대한 발굴은 1918년과 1920년 두 차례에 걸쳐 조사됐으며, 그 중 제48호분은 당시 중심석곽에 다량의 유물이 쏟아져 많은 관심 속에서 현장조사가 이뤄졌다.
하지만 조사를 진행한 고적조사위원이 관련 내용을 보고하지 않았고 발굴 조사과정이 매우 거칠어 주곽의 내부 유물만 수습할 수 있었다.
이처럼 봉토내 부곽 등이 조사되지 못했으며, 고분의 축조방식과 주곽의 구조형식에 대한 실측과 기록이 누락된 채 일부 출토유물만 총독부박물관으로 옮겨져 현재 국립중앙박물관 수장고에 보관돼있다.
따라서 이번 학술발굴은 주곽의 구조형식에 대한 기록과 촬영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부곽에서 유물이 발견될 가능성도 존재해 제48호분의 성격 규명과 성주지역 고분문화 및 실체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병환 성주군수는 “최근 경주 및 익산 등에서도 일제강점기에 발굴됐던 고분을 재발굴해 의미있는 성과를 거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우리 성주의 성산동 고분군 역시 또 하나의 값진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