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축산 분야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양의 유기성 폐기물을 재생에너지로 활용하고 공공처리시설의 안정적인 처리용량을 확보하고자 성주군은 통합바이오 에너지화시설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해당시설은 가축분뇨 200톤, 음식물 10톤, 분뇨 30톤, 농축부산물 15톤, 탈수케익 5톤을 처리하는 등 기존시설 대비 3배가 넘는 용량의 260톤/일(기존처리시설 포함) 규모이며, 반입 및 전처리설비와 폐수처리 설비, 혐기성 소화설비 등이 계획돼있다.
설립위치는 기존 삼산리 소재 축산분뇨공공처리장 인근부지를 활용해 1만여평(33,332㎡)의 면적으로 설립될 예정이며, 441억원(국비92%, 국·도비8%)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현재 성주읍 삼산리 일원에 80톤/일(가축분뇨 50톤) 용량의 축산분뇨공공처리장이 설립돼 있으나 음식물류, 농축부산물, 가축분뇨 등 해마다 증가하는 유기성 폐기물로 인해 하루 평균 80여톤을 처리하는 등 시설이 포화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성주군 가축분뇨배출시설은 소(569개소), 돼지(42개소), 개(46개소), 닭(25개소), 젖소(21개소) 등 총 710개소가 분포해 있으며, 가축분뇨 수집 및 운반 업체는 6개소로 집계돼있다.
매년 증가하는 유기성 폐기물은 무단방류로 인한 수질오염과 악취 유발은 물론 온실가스 배출에 따른 지구온난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에 군은 고질적인 악취 환경개선 및 수질향상과 폐자원 에너지화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2018년 환경부 시범사업의 일환으로2023년까지 통합바이오 에너지화시설 설치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 환경영향평가서 제출을 앞두고 평가서 초안 공람 및 주민들의 의견 수렴을 진행했으며, 9월말 삼산1·2리, 성원리 등 인근 주민들의 요청으로 공청회가 진행될 예정이다.
군은 통합바이오 에너지화시설이 들어서면 유기성 폐기물을 바이오 에너지화 시켜 많은 양의 전력을 생산·공급하는 등 주민 생활환경개선과 더불어 신재생에너지의 활성화와 환경보호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자원순환사업소 관계자는 "해당시설은 기존 처리장과는 달리 환경기초시설로써 주민친화적 역할은 물론 경제적 수익을 창출시킬 수 있는 건립사업"이라며 "기존 처리장의 용량 부족을 해소할 뿐만 아니라 분뇨를 무단방류하는 행위도 근절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성주군 관내 가축분뇨배출시설 점검에 따른 무단방류 및 공공수역 오염 여부 등에 대한 적발건수를 살펴보면 2019년 10건, 2020년 5건, 2021년 상반기 기준 8건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시설에 대한 주민들의 부정적인 인식과 운영비 부담 등의 문제가 여전히 남아있어 향후 신재생에너지의 실질적인 판매사업을 비롯해 불안감 해소를 위한 안전설비가 충분히 확보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사업초기인 2019년에는 설립부지의 인근 주민들이 분뇨처리장 증설에 반대하는 집회를 여는 등 성주관내를 돌며 항의한 바 있다.
인근지역의 주민 A씨는 "설립계획 지역 일대엔 혐오시설이 많아 주민들이 생활하는데 많은 고통과 불편함을 겪고 있다"며 "바이오에너지화시설의 환경친화적인 부분이 부각되고 있으나 확실한 검증과 절차로 주민들을 납득시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