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공원은 자연 생태계를 보존하고 지역민에게 휴식을 제공하는 중요한 공간으로 그에 따른 필요성과 가치가 강조된다. 현재 성주지역 곳곳에서 생태공원 조성사업이 추진되는 가운데 본지는 사업목적과 설계방안 등을 분석하고 아울러 타 지역의 사례를 살펴보며 지속가능한 미래를 제시코자 한다. 【편집자 주】 ▶1회 생태공원의 중요성 및 역할▷2회 이천 친환경 조성사업▷3회 성주호 생태둔치공원 조성사업▷4회 인촌지 생태공원 조성사업▷5회 우수사례 - 여의도 샛강생태공원▷6회 우수사례 - 칠곡보생태공원생태공원은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 공간이다.도시화로 훼손된 자연 생태계를 복원 및 보호하는 동시에 주민들에게 휴식과 교육, 오락의 기능을 제공한다.최초의 생태공원은 1977년 영국 런던 템즈강변 타워브리지 인근에 위치한 2에이커(약 2천450평) 규모의 `The William Curtis Ecological Park(윌리엄 커티스 생태공원)`를 가리킨다.생태공원은 점차 독일, 네덜란드 등으로 확산됐으며 각국에서는 자연과 인간이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모델을 구축하기 시작했다.우리나라는 1980년대 후반 생태공원 및 생태적 조경기법이 알려진 후 1993년 서울시의 `난지도 생태공원` 계획이 발표되며 관심을 모았다. 이어 1997년 `여의도 샛강생태공원`이 조성돼 주목을 받으면서 각 지자체 등을 통해 자연보호 바탕의 공원체계가 빠르게 자리 잡았다.기존의 공원과 비교해 생태공원은 자연적 요소와 각종 인적·물적자원을 활용한 환경교육적인 기능이 강조된다.첫째, 자연 생태계 보존 및 유지에 중대한 역할을 한다. 공원 설계과정에서 인공적인 요소를 최소화하고 자연 그대로의 환경을 제공해 생태 다양성을 유지하며 야생생물 서식지를 보호하는 등 건강한 지역 생태계를 구축한다.둘째,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교육장소로 활용할 수 있다.생태공원을 중심으로 다양한 자연탐구 및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 시민의식을 함양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한다.셋째, 생태공원은 휴식과 오락을 즐길 수 있는 장소로 주민 삶의 질을 향상한다.산책과 운동, 자전거 타기, 소풍 등 자연 속 다양한 야외활동을 통해 재충전할 기회를 제공하며 건강한 삶의 균형을 유지한다.이밖에 생태공원은 학자 등 전문가에게 지역 생태계를 깊이 이해할 수 있는 연구환경을 제공한다.연구 결과는 보존정책을 개발하고 지역 자연환경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데 주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이처럼 지속가능한 성장과 지역사회의 참여를 유도하는 다목적 생태공원 설계 및 운영에 대한 관심이 높다.이에 발맞춰 성주군도 이천과 성주호, 인촌저수지 등 지역 내 수계(水系)를 따라 생태공원을 조성한다.앞서 이병환 성주군수는 "휴식과 문화, 레저를 충분히 즐길 수 있는 생태공원을 육성해 지역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하고 관광객 유치를 통한 부가가치를 창출하겠다"고 밝혔다.성주지역의 생태공원 조성사업은 환경보전과 지역경제 활성화의 목표를 추구하는 가운데 타 지자체의 사례도 눈여겨볼만 하다.국내 최초 생태공원인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샛강생태공원은 63빌딩부터 국회의사당 뒤편까지 면적이 75만8천㎡(약 229평)에 달한다.수변을 따라 버드나무가 5km 가까이 길게 늘어져 있으며 공원 내 흙길에는 산책에 나선 주민들로 활기가 넘친다.지난 2005년부터 공원을 중심으로 생태해설, 자연관찰, 자연놀이 등의 학습프로그램을 연중 운영하고 있다.관리주체인 한강사업본부 관계자는 "자연을 해치지 않기 위해 공원 내 벤치와 매점, 가로등을 설치하지 않았다"며 "덕분에 멸종위기 관심대상인 두꺼비 개체가 확인된 바 있고 천연기념물인 황조롱이 등이 터를 잡기도 했다"고 설명했다.자연보전과 도시생활이 조화를 이룬 대표적인 모델로, 이러한 성공요인을 분석해 지역에도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코자 한다.이에 본지는 총 6회에 걸쳐 성주지역 생태공원 조성사업의 영향력을 알아보고 지역민의 관심을 유도해 성공적인 사업추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할 계획이다.이를 토대로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지속가능한 발전모델 구축 및 육성을 기대해 본다.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최종편집:2025-05-01 오후 03:55:19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유튜브페이스북포스트인스타제보
PDF 지면보기
오늘 주간 월간
출향인소식
제호 : 성주신문주소 : 경북 성주군 성주읍 성주읍3길 15 사업자등록번호 : 510-81-11658 등록(발행)일자 : 2002년 1월 4일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성고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45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최성고e-mail : sjnews1@naver.com
Tel : 054-933-5675 팩스 : 054-933-3161
Copyright 성주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