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사상사
지은이 : 이호철 외 30인
목 차
강석경 타고르
고은주 최승자
구효서 유치환
김병총 서정주
김연수 알렉산드르 블로끄
김채원 D.H 로렌스
김 훈 김명인
문순태 김현승
박기동 신대철
복거일 김신윤
서영은 김동리
서정인 이덕무
서하진 이산하
손장순 폴 발레리
송하춘 이광웅
신경숙 백석
유재용 윤동주
윤후명 박목월
이승우 최승자
이호철 김소월
정길연 정현종
정연희 전봉건
정 찬 곽재구
조경란 이진명
조성기 토마스 머톤
차현숙 임길택
최 윤 김지하
최 학 유치환
하창수 고진하
한승원 김소월
홍성원 베르톨트 브레히트
(가나다 순)
줄 거 리
[소설가들은 어떤 시를 ‘애송시’로 간직하고 있을까?]
4권에서 많은 시인들이 ‘백석’과 ‘서정주’의 작품을 애송시로 간직하고 있어 눈에 띄었던 것과 달리, 이번 5권의 소설가들은 동서양과 고전․현대를 망라한 다양한 시를 애송시로 꼽았다.
특히 복거일, 서정인 같은 소설가들은 ‘김신윤의 ’, ‘이덕무의 ’과 같은 한시를 소개하여, 요즘 사회에서 거의 읽히지 않는 한시를 음미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고 있다
[본문 중에서]
스무 살, 몇몇 시 쓰는 친구들과 어울려 《난팔지변(亂筆之辯)》이라는 시동인지를 묶었을 때 내 이름 밑에는 이상의 시를 닮은 온갖 기호들로 가득했었다.
유치환의 를 본 것이 그 즈음이었다. 문학과 부모 중 하나를 택해야만 하는 기로에 서게 됐을 때 너는 어떤 것을 택하겠느냐고 다그치는, 별명이 칸트였던 친구의 소개로 읽은 책에서였다.
그때부터였을 것이다. 나는 오랫동안 입고 다녀 걸레처럼 되어 버린 검은 오버코트를 벗었다. 녹음기를 다시 집 안에 들이고, 슬리퍼 대신 검정색 단화를 신었다. 그리고 여전히 내 속에 엄존하는 거지 같은 자아를 응시하기 시작했다. 나를 응시하는 또 하나의 나를 만들어 낸 셈이었다. 가 나를 그렇게 만들었다.
- 본문 39쪽 구효서의 글 중에서-
김현승 선생님이 세상을 뜨기 전 마지막으로 광주에 오셨을 때였다. 진헌성내과로 선생님을 찾아뵙는 자리에서 왜 시를 쓰지 않느냐고 꾸짖었다. 나는 소설을 쓰고 싶다고 했다.
“시를 쓰듯 소설을 쓰게. 그러면 됐지.”
그때는 선생님의 그 말뜻을 알지 못했다. 한참 지나서야 선생님의 그 말을 통해서 문학에 있어서 서정성의 중요함을 깨달을 수 있었다. 그래서 나는 소설을 쓸 때 시인의 눈으로 세상을 보려고 애쓴다. 특히 자연을 묘사할 때 시인의 감성을 최대한으로 살려 보려고 노력한다.
- 본문 79쪽 문순태의 글 중에서-
그해 여름, 나는 비를 막느라 비닐포장을 두른 슬레이트 지붕 아래 런닝 차림으로 누워 생각날 때마다 시를 썼다. 대문(이랄 것도 없지만)을 열어 놓았기 때문에 마을버스가 지나가면 자욱하게 인 먼지가 방 안으로 들어왔다. 꼭 길바닥에 누워 있는 느낌이었다. 어쨌건 나는 시를 썼다. 시를 쓰다가 할 일이 없으면 다른 사람들의 시를 읽었다. 그 시절에 잘 읽었던 알렉산드르 블로끄의 시집 이름은 《오, 나는 미친 듯 살고 싶다》였다. 달동네 뜨거운 지붕 아래에 누워 오, 나도 미친 듯 살고 싶었다.
-본문 55쪽 김연수의 글 중에서-
교정을 끝내고 일어설 때 그 출판사의 사장이자, 주간이자, 편집자인 선배가 지금 인쇄소에서 막 가져왔다며 시집 한 권을 내 손에 들려 줬다. 임길택이라는, 처음 들어 보는 시인의 《똥 누고 가는 새》라는 시집이었다. 책을 가방에 넣으며 ‘하긴 똥을 담고 하늘을 날면 오래 날지 못하겠지’ 속으로 중얼거렸다.
그때 나는 이 시집을, 아니 이 시집에 담긴 시와 사랑에 빠질 줄은 몰랐다. 그 연애가 나를 위로하고, 마음의 소란을 가라앉혀 주고, 미움이 덧없음을 알게 해줄 줄은 꿈에도 알지 못했다. (중략)
이 글을 쓰는 지금 나는 웃고 있다. 나도 언젠가 이 시인이 사는 세계로 갈 거다. 그때 꼭 만나 물어볼 말이 있다. “왜 나는 당신 시를 읽으면 웃음이 먼저 나오고, 웃다 보면 슬퍼지고, 슬퍼지다 보면 마음이 착해지냐고. 혹 착해진 마음으로 미처 다 알아보지 못한 당신 마음이 있냐고. 있다면 노자(路資) 대신 이 시집을 갖고 이 먼 길을 왔으니 나한테만 꼭 말해 달라. 아무한테도 말하지 않을 테니.”
- 본문 224쪽 차현숙의 글 중에서-
어느 날 서교동에서 나는 이산하의 시집을 받았다. 그는 조금 상기된 표정이었다. 갈치회와 갈칫국과 갈치조림을 먹고 돌아오는 길, 예의상 펼쳐 본 그의 시집에서 나는 충격을 받았다. 망치가 못을 친다, 못도 똑같은 힘으로 망치를 친다, 나는 벽을 치며 통곡한다……. 어쩌면 이리도 아픈 ‘사랑’이랴, 싶었다. 어느 날부터 갑자기 악몽이 사라졌다……. 난 이미 죽었는지도 모른다, 하는 을 읽고는 가슴이 저렸다. 시는 짧고 날카롭고 정확했다. 악몽이 사라지는 것이 오히려 두려운 일임을 그는 잘 알고 있었다.
그의 시집에는 잘 읽히는 시와 잘 안 읽히는 시가 절반씩 있다. 머리가 아픈 날 나는 잘 읽히는, 그래서 내 가슴을 아프게 하는 시를 읽는다. 정신이 맑은 날에도 역시 잘 읽히는 시를 읽는다. 모처럼 맑은 머리를 아프게 할 것이 겁나서. 이산하의 시가 담고 있는 세계를 생각하면 아직까지 나는 어린아이에 불과하다.
언젠가 그가 한 말을 생각한다. “니 소설은 말이지. 깡통으로 치면 한쪽에만 구멍이 뚫린 기야. 깡통 위에 양쪽으로 탁, 탁 구멍을 내줘야 술술 풀리는 거라…….” 그의 을 다시 읽으며 문득 벽을 치며 통곡하고 싶어진다.
- 본문 115쪽 서하진의 글 중에서-
사랑하는 내 딸 강에게
여름 휴가가 시작되었다. 사람들은 산으로 바다로 외국 휴양지로 구름같이 몰려들 간다. 여름은 젊은이들을 들뜨게 하고, 그 들뜸은 자기를 잃어버리게 하고 뜻하지 않은 탈을 일으켜 주기도 한다. 여름은 생명을, 주체할 수 없는 열정을 증발하게 하고 불태워 재로 만든다.
이렇게 주위가 덩달아 들썽거리는 때에는 소월의 를 읽어야 한다. 소월은 인간의 절대고독을 잘 노래한 시인 가운데 한 사람일 것이다.
- 본문 252쪽 한승원의 글 중에서
작품해설 및 보도자료
[다섯 번째《나를 매혹시킨 한 편의 시》를 펴내면서]
1999년, 《문학사상》에 ‘나의 애송시’라는 제목으로 연재해 온 각계 명사들의 글을 모아 《나를 매혹시킨 한 편의 시》1․2권의 단행본을 출간한 이후, 수많은 전화와 격려 편지, e메일을 통해 계속해서 명사들의 시 이야기를 듣고 싶다는 독자들의 애정 어린 관심이 쏟아졌으며, 이것만으로도 독자들의 가슴에 시 정신이 아직 살아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힘입어 문학사상사에서는 이 책을 시리즈로 발간하기로 하고 다시 독자들이 좋아하는 명사 30인을 더 선정하여 3권을 내놓았으며, 4권은 ‘시인 편’으로 엮어 시 세계에 사는 시인들의 애송시와 그에 얽힌 이야기를 엮었다.
이번 2002년도를 맞이하여 새롭게 엮은 5권 ‘소설가 편’에서는 항상 소설과 더불어 살아 온 우리 시대 소설가 31인이 자신들만의 멋진 문체로 시에 얽힌 사연들을 풀어 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