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대선 도의원은 지난 15일 제197회 경상북도의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 도정질문에서 현재 경북이 당면하고 있는 과제와 관련, 각종 질문을 던지며 실효성 있는 대책을 촉구했다.
이 날 방대선 도의원이 제시한 도정질문의 요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방 의원은 FTA 등으로 어려운 현시점에서 농업개방 요소에 대비한 경북농업의 청사진 제시를 요구하며, 『농업·농촌·농민 문제는 더 이상 일회성 땜질식 대응으로 곤란하다』는 말과 함께 『농업과 농촌은 단순한 산업적 기능이 아닌 역사와 전통 나아가 정주환경적 기능에다 삶의 질 향상과 환경적 기능까지 접목된 종합적 보전과 유지라는 시대적 명분에 눈을 떠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농촌의 환경과 관련해서는 백색혁명으로 지칭되는 비닐농업으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와 관련해 『지난해 농업부분에서 전국적으로 10만톤이 넘는 비닐사용이 추정되지만 회수율은 35%에 지나지 않는다』며 『미 회수된 비닐은 농촌지역의 자연경과 훼손 및 토양생태계 교란으로 심각한 환경문제가 야기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도에서는 폐비닐문제 해결의 일환으로 폐비닐 수거기를 공급하고 있는 것으로 아는데, 이에 대한 실태와 폐비닐 문제해결을 위한 근본대책을 질의했다.
또한 지역균형발전과 관련해서 그동안 경상북도의 주요한 개발정책의 대부분이 경북의 북부와 남부만을 고려하여 왔고 또한 최근에는 동해안 개발을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어 상대적으로 경북의 서부권은 철저히 소외되어 왔다고 밝혔다.
방 의원은 『안동 등을 중심으로 한 북부권은 유교문화권 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포항·경주 등을 중심으로 한 동부권은 기업도시 및 역사문화도시 조성 등을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이 거론되고 있다』며 『고령 대가야, 성주 성산가야 등을 중심으로 한 가야문화권 개발사업에 보다 많은 투자를 통하여 우리나라 고대역사를 재정립하여 민족의 정신을 바로 세우는 출발점임을 각인시켜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지역이 균형발전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차원에서 공공기관 지방 이전으로 국가균형발전을 이루듯이, 경상북도 차원에서 도 산하 기관을 경북지역에 분산 재배치하고 특히 지역개발에서 소외된 서부권으로 이전하는 방안의 적극 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성주 지역의 경우를 예로 들며 『성주지역은 예로부터 기후조건이 그 어느 지역보다 양호하여 자연재해 등이 극히 적고 평야·산간지역 모두를 끼고 있어, 각종 농산물을 시험하고 재배하는 가장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기에 농업기술원의 입지로서는 최적지』라며 『그럼에도 성주를 비롯한 고령·칠곡 등은 언제나 주요한 정책대상에서 소외되어 발전전략에서 들러리역할만 해왔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밖에도 부실 경도대학의 존폐, 국가균형발전의 대안인 공공기관 이전을 위한 도차원의 노력, 도 금고와 관련한 사항 등 각종 질의를 폈다.
/정미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