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저자가 주식투자 실패로 진 빚 7억을 갚아나가는 과정에서 `주식시장 3대 불변의 법칙`과 `파워분석법`을 정립하여 일반 투자자를 위한 `마이웨이(홀러서기) 기법`을 서술해놓은 책. 자신의 실패경험을 바탕으로 습득한 엘리베이터철학, 계단철학, 도마뱀철학 등을 정립하여 주식투자에 대한 이론을 펼쳐보인다. 파워분석법(입문편) CD-ROM 수록. 출판사 서평... 책 제목만 보아서는 단순한 주식투자 실패자의 경험담에 불과할 것 같지만, 저자는 스스로 창안해낸 에 따라 자신의 뼈져린 주식투자 실패담과 그 극복과정을 진솔하게 감동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80년대 소위 잘 나가는 증권맨 시절의 이야기와 명동 큰손과의 만남에서 깨달은 주식시장의 속성, 주식으로 빚을 졌을 때의 상황, 빚에 몰렸을 때 대응 방법, 12가지 실패감정 극복방법, 위기를 기회로 삼은 역전의 철학 등등이 솔직하게 담겨 있다. 또한 일반 투자자들이 왜 주식에서 그렇게 큰 손해를 볼 수 밖에 없는지에 대해 그 원인을 분석하고, 누구나 쉽게 주식투자를 할 수 있는 `파워분석법`과 우리 인생 전반에 걸쳐 일어나는 모든 종류의 실패에 대응할 수 있는 `마이웨이 성공방정식` 등을 소개하고 있다. 김동조 씨는 80년대 후반 이른바 주식 붐 시대에 잘 나가는 증권맨이었다. 그러던 그가 주식으로 실패하여 개인으로서는 상상하기 힘든 7억 원이라는 빚을 지고 절망과 좌절의 시간을 보낸 끝에 실패를 어떻게 극복하고 성공으로 갈 수 있는가를 이라는 독특한 철학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는 자신의 실패원인을 냉철하게 분석하여 대책을 세운 뒤 실패감정을 극복하고 행동에 옮겼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그에게 힘이 되어준 가족과 친구들의 이야기는 독자들에게 가슴 뭉클한 감동을 선사한다. 저자는 자신의 철학을 실패철학이라고 말한다. 미국이나 일본에서는 이미 `실패학`이라는 이름으로 실패에서 배우기가 붐을 이루고 있지만, 정작 `실패학` 이론이 가장 필요한 곳은 바로 우리 나라라고 말한다. 돈문제를 비롯하여 모든 분야에서 우리는 끊임없이 실패를 하고 있고 또 그 경험들을 지니고 있다. 중요한 것은 이 실패를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의 문제다. 1억 원의 실패를 했다면 이미 1억 원의 자산을 가지고 있는거나 마찬가지라고 그는 말한다. 그러면서 실패를 자산화시키기 위해서는 남의 실패든 나의 실패든 먼저 실패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실패친화적`인 자세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작년 미국 월드시리즈에서 결정적인 순간에 홈런을 맞아 패배한 김병현을 위로했던 미국인의 태도는 `실패친화적`이고, 반면에 한국 월드컵 대표팀이 외국과의 친선경기에서 큰 스코어 차이로 패하자 히딩크 감독을 크게 비난했던 한국인의 태도는 `실패배타적`인 자세라고 예를 들고 있다. 그리고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라고 말한 에디슨의 경우야말로 대표적인 `실패친화적`인 자세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의 저서의 미덕은 그가 직접 체험한 사례를 바탕으로 실패를 어떻게 자산으로 만들 수 있는가를 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이것은 비단 주식실패의 경우뿐만 아니라 우리 인생 전반에 걸쳐 일어나는 모든 실패에 적용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특히 저자는 을 활용하여 중학생인 자신의 아들의 성적을 전교 1등까지 끌어올린 사례를 들어 자녀교육에 적용할 때도 큰 효과가 있다고 주장한다. 부록에서는 일반투자자들이 주식투자에서 실패하는 근본적인 원인이 스스로 알지 못하고 함부로 남한테 의존하기 때문임을 밝히고 그 대책으로서 홀로서기를 할 수 있는 `파워분석법`에 대한 내용을 알기쉽게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직접 수강한 투자자들의 진솔한 소감도 함께 싣고 있다. -------------------------------------------------------------- 저자 소개... 김동조 1955년 울산에서 출생했다. 동아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고려증권, LG증권근무, 일본 증권사 연수, MBC라디오 시황해설, 현 마이웨이스탁 소장으로 일반투자자에게 주식투자기법을 강의하고 있다. 유학비 마련을 위해 주식투자에 뛰어들었다가 12년간에 걸쳐 7억이라는 빚을 지게 되었다. 4년에 걸친 각고의 노력으로 빚을 청산했다. 어머니 장례식 때 들어온 돈 300만 원을 밑천으로 를 차린 것이 길고긴 부채의 터널을 빠져나오게 된 계기가 되었다.
최종편집:2025-05-14 오후 05:22:55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유튜브페이스북포스트인스타제보
PDF 지면보기
오늘 주간 월간
출향인소식
제호 : 성주신문주소 : 경북 성주군 성주읍 성주읍3길 15 사업자등록번호 : 510-81-11658 등록(발행)일자 : 2002년 1월 4일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성고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45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최성고e-mail : sjnews1@naver.com
Tel : 054-933-5675 팩스 : 054-933-3161
Copyright 성주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