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너무나도 흔하기 때문에 그 가치마저 잊혀진 소금. 역사상 가장 장대한 건축물 만리장성의 건설비용이 소금에서 나왔다면? 유럽인의 신대륙 발견이 소금으로 인해 가능했다면? 프랑스 혁명의 최초 원인이 소금에 있었다면? 미국 독립전쟁과 남북전쟁이 사실은 소금 때문에 일어났고, 소금으로 전쟁비용이 조달되었다면? 심지어 미국 서부의 석유 채굴이 소금 채굴에서 시작되었다면? 미시사의 대가 마크 쿨란스키는 소금에서 이 모든 역사의 이면을 읽어낸다. 정치와 경제, 종교, 과학, 그리고 요리법에 관한 풍성한 이야기들과 함께, 소금이 세계 도처의 인류문명과 생활을 어떻게 떠받쳐 왔는지를 흥미진진하게 풀어낸다. 저자 및 역자 소개 저자 : 마크 쿨란스키 전문작가. 등의 지면에 글을 기고해왔다. 음식과 그 역사에 오랜 관심을 가져왔으며, 뉴욕과 뉴잉글랜드에서 전문요리사 및 제빵사로 일하기도 했다. 이런 지식을 바탕으로 지에 음식의 역사에 곤한 고정 칼럼을 연재하여 그중 몇 개가 2000년 Best Food Writing에 선정되기도 했다. 1997년 출간한『대구:세계를 바꾼 물고기』는 독자들에게 엄청난 반향을 일으켜 와 의 베스트셀러에 올랐으며, 뉴욕시립도서관이 선정하는 97년 Best Book, 음식 관련 명저에 주어지는 James Beard Award, 글렌피디치 사가 수여하는 Food & Drink Award for Best Book등을 받았다. 쿨란스키는 특히 이 책『소금』의 집필을 위하여 중국에서부터 중동, 아프리카, 스칸디나비아 반도에 이르기까지 세계 각지를 여행하였으며, 고대부터 현대까지 수많은 역사 문헌들을 뒤졌다. 그 결과 문화, 요리, 역사, 사회적인 이야기들을 풍부하게 버무려 흥미진진한 한 편의 미시사를 완성하였다. 쿨란스키는 이밖에도『바스크의 역사』,『섬들의 육지:카리브해의 운명』,『선택받은 소수:유럽 유대인의 부활』등의 뛰어난 다큐멘터리를 썼으며, 최근에는 단편소설집 『나무 속의 백인』을 출간했다. 현재 그는 아내, 딸과 함께 뉴욕에서 살고 있다. -------------------------------------------------------------------------- 독자리뷰 소금과 설탕의 세계사 | --- 김병희(cbang36@yes24.com) 역사와 문화 분야 베스트셀러에서 빠지지 않는 책들이 있다. 바로 미시사 혹은 작은 것들의 문화사를 다룬 책들이다. 『사생활의 역사』(새물결)처럼 두툼한 양장의 폼 나는 역사서가 있는가 하면, 『에로틱한 발』(그린비), 『고추 그 맵디매운 황홀』(뿌리와이파리)처럼 사소한 것들의 역사를 맛깔 나게 소개한 부담 없는 문화사들도 있다. 요즘에도 이 ‘별의별 것들의 역사’는 한 달에 서너 권은 출판되어 나오고 있다. 소금과 설탕은 이런 별의별 것 가운데에서도 가장 우리와 가까운 것들이다. 당신의 식습관이 일반인은 이해 못할 만큼 엉뚱하지만 않다면, 오늘도 벌써 몇 번쯤 이 두 가지를 섭취했을 것이다. 『소금』(세종서적)과 『설탕의 세계사』(좋은책만들기) 속에는 우리와 더 가까울 수 없는 이 하얀 가루들에 대한 거의 모든 것이 담겨 있다. 소금은 가장 기본적인 조미료다. 아니, 조미료라고 부르는 것이 어색할 정도로, 소금은 그대로 맛이다. 그 역사는 인류사와 함께 시작되었고, 그 쓸모는 전세계적이다. 책 속 인용문을 다시 인용하자면, ‘금을 원하지 않는 사람은 있겠지만 소금을 원하지 않는 사람은 절대 살아갈 수 없다’ 소금은 먹는 것 외에도 무수한 쓸모를 가지고 있다. ‘현대 소금업계’ 추산 1만 4,000여 가지의 용도로 쓰인다고 하는데, 먹을 뿐만 아니라 벽돌로 만들어 건물을 짓거나, 시체를 그 속에 넣어 미이라로 만들 수도 있고, 국민들에게 뇌물로 줄 수도 있었으며, 화폐처럼 거래에 이용할 수도 있었다. 게다가 재수 없는 손님의 등 뒤에 뿌릴 수도 있고, 오줌싸개를 가르치는 데에 사용할 수도 있다. 염전은 전쟁의 원인이 될 만큼 중요했고, 소금을 전매한 정부들은 예외 없이 넉넉한 재정을 즐길 수 있었다.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에 걸쳐 좋은 소금을 가장 중요한 손님 앞에 놓는 것이 예의였고, 심지어 손가락으로 소금을 건드리는 결례를 범하지 않기 위해 나이프를 사용했다고 하니, 소금을 그저 조미료라고 하는 것은 결례도 이만저만한 것이 아니다. 가장 필수적이며, 그래서 중요했던 소금과 달리 설탕은 탄생에서부터 사치스럽다. 벌꿀 외에는 단맛을 모르던 중세의 인류에게 사탕수수에서 나는 단맛 덩어리는 음식이라기보다는 약품에 가까웠다고 한다. 이 극단의 사치, 혹은 만병통치약을 위해 신대륙 발견 이후의 유럽인들은 아프리카 흑인을 노예로 유괴하는 것도 서슴지 않았다. 현대인은 거의 매일 커피를 마시지만, 이백 년 전만 해도 동쪽 끝 중국에서 온 차에 서쪽 끝 신대륙에서 온 설탕을 타 마시는 것은 최고의 사치였다. 『소금』은 소금의 모든 것을 다루고, 또 그 주변 이야기까지 다룬다. 이를 테면, 소금에 절인 생선이 나오면 청어와 대구 이야기가 나오고, 돼지 앞다리를 절여 만든 햄이 뒤를 잇는 식이다. 이에 비해 『설탕의 세계사』는 설탕을 둘러싼 역사 사건에 주목한다. 전자가 저자의 박학 때문에 즐거운 책이라면, 후자는 역사가의 비판적인 시각에 귀 기울이게 되는 책이다. 정현종 시인은 자신의 시에서 ‘몸보다 그림자가 더 무거워/머리 숙이고 가는 길/피에는 소금, 눈물에는 설탕을 치며/사람의 일들을 노래한다(『나는 별 아저씨), ‘고통의 축제 2’)’고 했다. 어쩌면 사람의 일들을 모두 알려줄지도 모를 소금과 설탕의 문화사에 주말 오후쯤은 훌쩍 지나갈 것이다.
최종편집:2025-05-16 오후 01:43:55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유튜브페이스북포스트인스타제보
PDF 지면보기
오늘 주간 월간
출향인소식
제호 : 성주신문주소 : 경북 성주군 성주읍 성주읍3길 15 사업자등록번호 : 510-81-11658 등록(발행)일자 : 2002년 1월 4일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성고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45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최성고e-mail : sjnews1@naver.com
Tel : 054-933-5675 팩스 : 054-933-3161
Copyright 성주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