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무더위가 본격화되는 7월부터 9월까지 벌집 제거 출동과 벌쏘임 사고가 집중 발생하는 가운데 경북소방본부가 지역민을 대상으로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경북소방본부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성주를 포함한 도내 벌집 제거 출동건수는 2022년 1만8천56건, 2023년 2만1천401건, 2024년 2만9천688건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특히 7~9월에만 전체 출동의 약 85%가 몰리며 하루 수백건의 신고가 접수돼 구조대원의 업무가 크게 가중되는 상황이다.
과거 청도군 청도읍 야산에서 벌초를 하던 남성이 벌에 쏘여 소방헬기로 구조됐고 경주시 문무대왕면에서도 벌초 중 사고가 발생해 병원으로 이송됐다.
이어 예천군에서는 추석을 앞두고 50대 남성이 벌에 쏘여 숨지는 등 야외활동 중 사고가 잇따르면서 주의가 필요하다.
올해 역시 1월부터 6월까지 벌집 제거 출동이 이미 2천760건에 달했으며 폭염이 절정에 이르는 7~9월에는 더욱 많은 신고가 예상된다.
이에 따라 벌쏘임 환자도 매년 1천건 이상 발생하고 있으며 최근 3년간 도내 벌쏘임 환자는 2022년 1천229명, 2023년 1천109명, 2024년 1천163명으로 집계됐다.
이중 일부는 알레르기 반응과 쇼크로 응급처치를 요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
한편, 벌쏘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벌집을 건드리거나 자극하는 행위를 삼가고 노출된 피부를 최소화하며 향수와 화장품 등 강한 향을 풍기는 제품의 사용을 자제해야 한다.
또한, 벌이 접근했을 때는 갑작스러운 움직임이나 손을 휘젓는 행동을 하면 안 된다.
박성열 경북소방본부장은 “벌집을 발견하더라도 무리하게 제거하려 하지 말고 반드시 119에 신고해 전문대원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며 “작은 부주의가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야외활동 시에는 벌쏘임 예방법을 숙지하고 실천해 달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