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북도내 어린이집과 초등학교 등에서 노로바이러스로 인한 집단 식중독 발생이 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올해 도내에서 발생한 집단 식중독 발생건수는 총 8건으로 이중 6건(75%)이 노로바이러스가 원인이다.
이는 지난해 동기간 발생한 집단 식중독 7건 중 노로바이러스가 원인으로 나타난 1건(14.3%)에 비해 높은 수치다.
주로 어린이집, 초등학교, 군부대 등 집단 급식시설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 집단 발병사례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은 오염된 물 또는 음식물을 섭취하거나 이미 감염된 환자로부터 2차 감염 등이 주요 원인이다.
또한 전파력이 매우 강해 적은 양의 바이러스로도 쉽게 감염될 수 있다.
노로바이러스 감염시 1~2일 안으로 구토와 설사가 발생하며 복통, 오한, 발열이 나타나기도 한다.
증상이 사라진 후에도 2주가량 환자의 구토·배설물에 바이러스가 남아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노로바이러스를 예방하기 위해선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을 씻어야 하며 날 음식을 피하고 끓인 물을 마셔야 한다.
한편 경북도 보건환경연구원은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을 포함한 각종 감염병 발생을 예방하고 확산을 막고자 도내 의료기관과 연계해 의심증상자의 가검물을 채취한 후 원인병원체를 분석하고 있다.
아울러 질병관리청과 함께 감염병 발생동향을 살피는 등 상시 감시체계를 유지 중이다.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식중독 의심환자 및 원인으로 추정되는 식품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사해 원인병원체를 규명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