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전면 소성리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기지를 둘러싸고 국방부와 주민 및 반대단체간 마찰이 격화하고 있다.
국방부는 지난달 31일 소성리 사드기지에 공사자재 생활물자 등이 실린 차량 30여대를 반입했다.
이는 같은 달 14·18·20·25·27일에 이어 5월 한 달 사이 여섯 번째 물자반입이다.
소성리 주민 및 사드배치반대 시민단체 회원 등 100여명은 당일 오전 6시부터 사드기지 입구에서 연좌농성을 벌였으나 경찰병력에 의해 저지됐다.
이 과정에서 몸싸움과 욕설이 오고갔으며 일부 주민은 마을회관에 갇히거나 트럭 위에 고립되는 등 충돌양상을 보였다.
소성리종합상황실 강현욱 대변인은 "코로나19와 농번기가 겹쳐 어수선한 시기 마을내 대규모의 경찰병력 동원은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며 "경찰 투입이 반복될수록 소성리 주민에 대한 인권침해가 더욱 심해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국방부는 최근 기지내 물자반입이 잦은 것에 대해 "그간 공사계획이 있었으나 1~2년 이상 지연된 데 따른 최소한의 조치"라며 "극도로 열악한 한·미 군장병의 기본권과 인권보장을 위한 시설 개선공사가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소성리 사드기지는 현재 임시배치 중인 상태로 한미 양국의 군장병 400여명은 지난 2017년부터 4년 넘게 롯데스카이힐 옛 골프장 클럽하우스 및 컨테이너 등을 숙소로 이용하고 있다.
사드에 대한 논란이 거세지면서 우려를 표하는 목소리도 적잖다.
초전면민 A씨는 "사실 일반주민의 시각에선 반입 장비나 물품에 대해 모를 때가 다수"라며 "하루가 멀다 하고 각종 매체를 통해 사드 소식이 쏟아지고 있는데 가까스로 회복한 청정지역 이미지가 다시금 훼손될까봐 걱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 상황에서 무작정 반대하기보다 수용의 자세가 필요하다"고 의견을 전했다.
앞서 지난달 24일 성주군은 사드배치로 촉발된 지역사회 갈등을 해소하고자 첫 `민·관·군 상생협의회(이하 상생협의회)`를 가졌다.
국방부는 정부차원의 지원방안 논의를 약속했으며 군은 고속도로 건설, 성주·대구간 경전철 연장 등 대형 국책사업 추진을 위한 자본 확충을 요구했다.
그러나 소성리사드철회 성주주민대책위원회는 "상생협의회는 사드철회를 원하는 소성리 주민을 배제한 어용단체"라며 "사드배치를 전제로 한 보상책 논의는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또한 "현재 진행하고 있는 기지공사 및 일반환경영향평가 등 모든 절차를 중단한 후 원점에서 재검토하고 사드를 철회해야 한다"며 "국방부는 경찰력 동원과 불법 기지공사 강행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한편 국방부가 요일에 상관없이 주2회 소성리 사드기지내 정기적인 물자반입을 예고하면서 갈등은 지속될 전망이다.